채용비리·갑질에 이어 출·퇴근 기록 조작의혹 까지
제주도감사위, 센터 근태 위반 알고도 '어물쩍' 늑장 대응
공익제보자, 감사원에 다시 신고 해 4개월만에 조사 착수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도를 국제회의도시로 발전시킨다는 명제 아래 지난 2003년 출범한 제주국제컨벤션센터(대표이사 김의근 이하 센터)에서 근태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또 다시 제기됐다.
앞서 센터에서는 채용비리와 갑질 의혹이 제기됐고, 채용비리는 서귀포경찰서에서 수사중에 있다. 그런데 또 근태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센터의 도 넘은 방만경영 실태가 그대로 드러났다.
제주국제컨벤션센터는 설립된 이후 지속적으로 만성 적자에 허덕이며 위상을 잃어가고 있으며, 지난해 역시 영업손익은 마이너스 8억원으로 당기순이익 마이너스 52억원을 기록했다.
실제 지난해 센터 매출 또한 62억원으로 2019년 매출 141억에 비해 79억원 이 줄었다. 특히 센터가 개소한 후 지금까지 총 누적 손실(결손금)은 238억원에 달한다.
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이 같은 매출 감소는 코로나19 집합제한 등으로 인해 지난해 행사 취소 건수가 120여건에 달하면서 매출이 감소한 상황에서 고정비용 지출 등으로 손실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제주국제컨벤센터는 도민의 세금인 재정이 막대한 투입되고 있는 출자·출연기관 중 하나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어야 하는데, 방만경영으로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 A실장 출·퇴근 근태조작 사실 조작 정황 포착…제주도감사위 '늑장대응' 왜?
공익제보자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제주국제컨벤센터 A실장의 출·퇴근 근태를 조작 했다는 정황을 포착했다.
A부장(2급 부장)은 2020년 1월 경영기획실장으로 임명된 이후부터 출퇴근을 지문으로 찍지 않고, 현지 출퇴근을 신청하는 방식으로 출퇴근 시간을 조작하거나, 인사담당자와 짜고 출퇴근 시간을 사실과 다르게 허위로 조작했다.
또 업무시간에는 주로 업무용 PC로 드라마 시청을 했다. 그러나 센터는 이를 인지하고도 정작 출·퇴근을 허위 조작한 A부장과 인사당사자에게 징계조치는 커녕 오히려 높은 인사고과를 부여해 A부장은 경영기획실장(1급 수석부장)으로 승진했다.
이 같은 사실을 알리기 위해 공익제보자는 2020년 11월 제주도감사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했다. 그러나 제주도감사위원회는 2021년 초까지 지도점검에 나오지 않았다.
공익제보자는 이후 2021년 2월 2일 감사원으로 다시 조사를 의뢰했다. 이후 2월 3일 광주감사원로 이첩된 후 다시 제주도감사위원회로 이첩이 되면서 4개월만인 2월 17일 도감사위원회의 조사가 시작됐다.
그러나, 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도감사위원회는 조사의 허술함을 그대로 나타났다.
조사 당시 제주도감사위원회는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된 출퇴근 명부와 CCTV를 비교 확인하면 근태 위반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를 확인하지 않고, 8월부터 10월까지 특정 일만을 지정해 CCTV 복사본만을 가져갔고, 정작 근태를 위반한 기간은 확인조차 하지 않았다.
센터에 따르면 8월의 경우는 A실장이 유급휴가를 받은 상태로 출근을 하지 않았고, 제출한 CCTV는 A실장의 사무실이 있는 4층 출입구가 아닌 3층 직원 출입구 CCTV를 제출했다.
이후 조사결과, 제주도감사원은 10월 A실장에 대한 출퇴근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 출퇴근을 지문인식으로 하지 않고 수기등록 된 사실과 출근 3회, 퇴근 2회의 조작된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CCTV 화질이 선명하지않고, 사각지대가 있다는 점을 들어 CCTV 기록 이후 다시 사무실로 들어 올 경우 확인이 불가능하다며 조사를 종결하며, 업무처리규정 제19조 제3호에 따라 컨벤션센터에 이송처리 후 지문기록 미인식한 사항을 자체 확인해 내부 규정에 따라 시정 조치하라고 했다.
또 업무시간 드라마시청은 지양 될 수 있도록 관리 감독하라고 하며 시정 조치결과의 제출 기한도 없이 3월 8일 자체적으로 마무리했다.
이에 센터는 아직까지도 시정 조치한 결과와 CCTV 자료를 감사위원회로 제출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제출이 늦어질수록 A실장이 근태를 위반한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CCTV 자료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현윤석 제주도감사위원회 조사과장은 ”조사를 진행하고 있었으나, 같은 건으로 감사원에 조사가 의뢰돼 조사가 중단이 됐다"며 ”조사업무처리규정에 따라 같은 건은 조사를 진행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현 과장은 ”감사원 조사가 완료되면, 도감사위원회 감사과로 통보를 하고 도 청렴감찰팀으로 넘어가게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해당 사건은 감사원에서 센터의 근태 위반 사항과 제대로 조사에 응하지 않은 제주도감사위원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호길 경영기획실장은 ”현재 감사원에서 조사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 조사를 통해 잘못된 부분이 확인이 되면 반드시 바로 잡을 것"이라며 "앞서 지적된 채용비리와 갑질 관련도 정확한 조사를 통해 바로 잡아 다시는 불미스런 일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남 도의원인 이선영 의원은 세금으로 운영되는 출자·출연기관의 부실 방지를 위해, 지방 공공기관 설립 전부터 타당성을 조사하고 기관 신설 심사제도 마련을 위한 “관리·운영단계에서는 제도화된 경영평가 시스템을 도입 주장하는 등 는 출자·출연기관의 부실방지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hanmail.net
관련기사
- ICC JEJU, 불편한 진실…수위 넘은 '채용비리' 어쩌나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갑질행위' 종합선물세트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채용비리 의혹 추가 폭로 잇따라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이번엔 형평성 어긋난 특별감사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고용유지 지원금 부정수급 '적발'
- 김의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대표, 퇴임 기념식재 '논란'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쌍놈새끼야, 죽을래"..갑질 천국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코로나 혈세' 빼먹은 얌체 공기관
- 비리종합선물세트 제주국제컨벤션센터 특감 예고
- 제주도의회, 제주컨벤션센터 비위행위 심각 "칼 꺼내드나"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경영문제 작심 비판…"열거도 힘들어"
- 각종 비위 얼룩진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종합감사 받는다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사장 공모 불발…정상화 '위태위태'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부정부패 '나몰라라'…道의회 지시도 무시
문서현 기자
start-to@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