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탁기 SKT 네트워크기술담당과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이 협약서에 서명하는 모습
 류탁기 SKT 네트워크기술담당과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이 협약서에 서명하는 모습

SK텔레콤과 삼성전자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기반 무선접속망(AI-RAN) 공동 연구에 나선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6G 이동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기반 무선접속망(AI-RAN) 공동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주도권 확보와 6G 상용화 준비를 목표로 협력 범위를 확대했다.

협력 분야는 ▲AI 채널 추정 기술 ▲분산형 다중 안테나(MIMO) 송수신 기술 ▲AI-RAN 기반 스케줄러 및 코어 네트워크 기술 등 6G 구조의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AI 채널 추정 기술은 건물과 장애물 환경에서도 전파 왜곡을 보정해 신호 정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분산형 MIMO는 여러 기지국이 협력해 대규모 밀집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초고속 통신을 구현한다. AI-RAN 스케줄러 기술은 네트워크가 스스로 자원을 배분하는 지능형 구조를 목표로 한다.

이번 연구는 SKT 네트워크기술담당과 삼성전자 삼성리서치가 주도한다. SKT는 전국망 운영 경험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증 환경을 제공하고, 삼성리서치는 AI 모델 고도화와 알고리즘 개발을 맡는다.

SKT와 삼성전자는 6G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공동 연구를 강화해 미래 네트워크 구조 혁신을 이끌 계획이다.

류탁기 SKT 네트워크기술담당은 “AI와 무선통신의 융합은 6G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라며,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AI-RAN 기반 6G 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6G 생태계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진국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SKT와의 현장 중심 협력을 통해 AI 기반 무선 기술의 실효성을 실제 환경에서 검증하고 핵심 AI-RAN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겠다”며 “양사의 지속적 협력을 통해 6G 상용화의 길을 함께 열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