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주 장기 갈등 속 사업 자진 취소…제주시, “토지주 요청 따라 처리"
사업 취소로 갈등은 멈췄지만, 주민 간 상흔 여전…공동체 회복 과제
![광령1리 마을주민들은 7월 15일 오전 10시 제주도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광령리 384번지 종합폐기물 사업 결사반대를 촉구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11/3436359_3574287_023.pn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제주시 광령1리(광령리 384번지)에 추진되던 폐기물 재활용시설 사업이 주민 반발 속에 결국 중단됐다.
제주시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지난 2월 4일 건축허가를 받았으나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사업주가 이달 4일 건축허가 취소원을 제출했고, 시는 5일 자진 취소 처리했다.
제주시 관계자는 “행정이 사업을 취소한 것이 아니라 토지주가 임대 거부 의사를 밝혔고, 토지주 요청에 따라 허가가 취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령1리 주민들은 폐기물시설이 들어설 경우 악취·미세먼지 등 생활환경 피해가 우려된다며 지난 4월 30일부터 도청과 제주시청 앞에서 반대 집회를 이어왔다.
광령 마을 주민들은 “재활용시설이라 해도 마을 입장에서는 결국 폐기물을 쌓아두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입장이 강경했다.
그러나 제주시가 허가한 사업은 주민들이 우려한 종합폐기물처리업이 아니라 폐기물을 선별·가공해 다시 활용하는 ‘폐기물 재활용시설’이다.
![광령1리 마을주민들은 7월 15일 오전 10시 제주도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광령리 384번지 종합폐기물 사업 결사반대를 촉구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11/3436359_3574289_039.png)
제주시는 자원순환 정책에 따라 재활용 적합 통보를 받은 시설이라고 설명했지만, 주민 불안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제주시는 갈등 조정을 위해 광령리 폐기물 반대위원회와 22차례, 사업자와 6차례 면담을 진행했고 제주도 차원의 중재도 이뤄졌으나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결국 사업주는 사업을 포기했다.
사업 중단으로 외형적 갈등은 멈췄지만, 마을 안에는 여전히 상처가 남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주민들은 “서로 얼굴을 마주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며 공동체 회복을 위한 대화와 배려가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제주시는 “향후 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 민감 사업 추진 시 주민과 충분히 소통해 불안과 오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2417@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