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제주도교육청 출입기자간담회…필요성 공감,도입 취지 퇴색
"192학점은 너무 많다”… 고교학점제 본래 취지 되살려야
국가교육위원회 논의 지연에 “현장 혼란 불가피” 경고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은  22일 오전 제주도교육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차담회에서 졸업학점 감축, 절대평가 회귀, 이수 기준 단순화 등 현장의 부담을 덜어주는 실질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피력했다.[사진=문서현 기자]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은  22일 오전 제주도교육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차담회에서 졸업학점 감축, 절대평가 회귀, 이수 기준 단순화 등 현장의 부담을 덜어주는 실질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피력했다.[사진=문서현 기자]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김광수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이 최근 논란이 되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해 본래의 취지를 살려야 한다"며 구체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김광수 제주도교육감은  22일 오전 제주도교육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차담회에서 졸업학점 감축, 절대평가 회귀, 이수 기준 단순화 등 현장의 부담을 덜어주는 실질적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피력했다. 

김 교육감은 "고교학점제의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진 것"이라며 "고교학점제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생들에게 과목 수나 단위 수를 줄여서 진짜 학생이 좋아하는 부분, 전공하고 싶은 부분 그런 교과들을 학생들에게 열어주자는 의도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의 고교학점제는 절대평가가 상대평가가 되고, 단위수도 충분히 줄어들지 않아서 여러가지가 잘못 꿰매진 것"이라고 지적하며 “학생들의 진로나 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이라는 본래 취지가 흐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 교육감은 우선 졸업학점 조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고교 3년간 192학점 이수 기준을 160~180학점대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학점이 과도하게 높아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크다”며 “다른 교육청들도 학점 축소에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성취도 평가방식도 문제로 지목됐다. “당초 고교학점제는 절대평가 체제로 설계됐지만 현재는 상대평가 요소가 섞이며 본래 취지가 훼손됐다”며 “절대평가로의 회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학업성취율 40% 기준 역시 비판했다. 김 교육감은 “출석률 3분의 2 이상이면 교과 수료로 인정하도록 단순화해야 한다”며 학생과 교사의 부담을 완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소성취수준 보장을 위한 보충수업 시간도 손질이 필요하다고 했다. 현재 1학점당 5시수의 보충수업이 이뤄지고 있는데, 이를 3시수 정도로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교육부 역시 해당 안을 검토 중이다.

김광수 교육감은 “현장이 감당할 수 있는 제도, 학생의 미래를 열어주는 제도로 다시 설계해야 한다”며 “교육부와 전국 시도교육감이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사진=문서현 기자]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기준에 대해서도 개선을 촉구했다. “교사의 기록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글자 수를 1,000자 이내에서 750자 이내로 축소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며 “기록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개선안 대부분이 국가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 만큼 발표가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위원 일부가 사퇴한 상황이라 재구성 이후에야 확정이 가능하다”며 “2학기가 거의 마무리되는 시점에 논의가 지연되면 현장의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스스로 과목을 선택해 진로를 설계한다는 취지로 도입됐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입시 부담, 학교 간 격차, 교원 업무 가중 등으로 취지가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를 두고 김 교육감은 “현장이 감당할 수 있는 제도, 학생의 미래를 열어주는 제도로 다시 설계해야 한다”며 “교육부와 전국 시도교육감이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