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유치계획 발표로 부산만의 경쟁력 보여줄 만반의 준비 마쳐

김진표 국회의장이 3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장인 파트릭 슈페히트 행정예산위원장과 실사단에게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성공적 유치 및 개최를 위한 결의안'을 전달하고 있다/제공=국제뉴스DB
김진표 국회의장이 3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장인 파트릭 슈페히트 행정예산위원장과 실사단에게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성공적 유치 및 개최를 위한 결의안'을 전달하고 있다/제공=국제뉴스DB

유치계획 발표 및 질의응답, 부산 북항 일원 방문 등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부산시는 2~7일 6일간, 국제박람회기구(BIE) 현지실사단이 서울과 부산에서 방한 일정을 수행한다.

국제박람회기구(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s, 이하 'BIE') 실사단은 2030 세계박람회 개최 후보지 부산을 실사하기 위해 지난 2일부터 5박 6일 일정으로 방한했다.

실사단은 독일 출신 BIE 행정예산위원장인 파트릭 슈페히트(Patrick Specht) 단장을 비롯해 디미트리 케르켄테즈(Dimitri S. Kerkentzes) BIE 사무총장, 케빈 아이작(Kevin Isaac) 세인트키츠네비스 대표, 마누엘 잘츠리(Manuel Salchli) 스위스 대표, 페르디난드 나기(Ferdinand Nagy) 루마니아 대표, 그리고 3명의 BIE 사무국 직원 등 총 8명으로 구성됐다.

현지실사는 유치 후보국의 필수 의무사항으로, 실사단은 이번 방한을 통해 대한민국과 부산의 유치역량 및 준비 정도 등을 평가하고, 5월까지 실사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

실사보고서는 오는 6월 말 BIE 총회에서 171개 전 회원국에 회람돼 올해 11월 말 예정돼 있는 2030 세계박람회 주최국 투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참고로,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사우디, 이탈리아, 우크라이나가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를 위해 경쟁하고 있다.

2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실사단은 박형준 부산시장과 정부 대표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윤상직 사무총장이 직접 맞이하고, 3일 세계박람회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 면담을 시작으로, 공식 실사 일정에 착수했다.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단(이하 '유치지원단')은 총 4차례의 공식 유치계획서 발표와 질의응답,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국회, 기업 등의 주요 인사 면담, 개최예정부지(부산 북항 일원) 방문, 다양한 환영‧문화 행사를 준비했다.

4차례의 유치계획 발표 및 질의응답은 박형준 부산시장, 윤상직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이하 '유치위원회') 사무총장,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 등 세계박람회 유치 관련 핵심 인사를 비롯해 김지윤 박사, 진양교 홍익대 교수 등 전문가가 대거 참여하고, 홀로그램, UAM 시뮬레이터 등 최첨단 기술을 총동원해 경쟁국과의 차별화 및 우위를 끌어낼 계획이다.

총 9시간에 걸친 유치계획 발표 및 질의응답은 Political Unity(총론), Theme(주제), Site(박람회장), People & Money(홍보 및 재정) 등 4개 테마로 나눠 구성했으며, 세계박람회 유치 동기, 주부제 소개, 엑스포를 통한 주부제 실현 방법, 엑스포 회장, 교통 및 숙박, 재원계획 등을 총망라해 진행될 예정이다.

실사단은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도 만나, 우리의 엑스포 유치에 대한 의지와 개최역량을 확인할 계획이다.

3일에는 국무총리, 국회의장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외교부 장관을 면담하고, 5일에는 개최 예정부지(부산 북항 일원)를 관할하고 있는 해양수산부장관을 면담할 계획이다.

5일에는 개최예정 부지인 부산 북항을 방문한다. 북항 방문은 이번 실사단 방문을 위해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마친 부산여객터미널 내 홍보관과 전망대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직접 연사로 참여해 개최부지의 당위성과 경쟁력을 PT로 발표한다.

특히 홍보관은 디오라마와 3D 영상을 결합한 영상을 통해 개최 예정지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실사단에게 현재 부지와 2030년 부산엑스포에 대한 미래 모습을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계각층 주요 인사들과의 다양한 오·만찬도 계획돼 있다.

3일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주재로, 주요 기업 대표들이 참여하는 경제계 오찬을 시작으로,  4일에는 부산시장 주재로 부산시 주요 인사가 참여하는 만찬이 진행된다.

이와 함께, 부산에서는 시민단체(4월 5일) 및 미래세대(4월 6일)와의 오찬도 예정돼 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부산엑스포 유치에 대한 의지와 관심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6일 저녁에는 부산시, 유치위원회 등 주요 인사가 참여하는 환송 만찬이 진행될 예정이다. 

부산시와 유치지원단은 오·만찬을 통해 한국의 매력을 충분히 보여주는 한편, 실사단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 한식, 양식을 적절히 조화하고 한국의 식재료를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실사단원들의 국적을 감안해 독일, 루마니아, 스위스, 그리스 대표 와인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4일 부산시장 주재 만찬에서는 '부산의 봄'(Spring of Busan)을 주제로 부산과 울산‧경남 지역에서 생산되는 제철 식재료를 이용해 실사단에 한국의 맛을 보여줄 계획이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3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장인 파트릭 슈페히트 행정예산위원장과 실사단에게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성공적 유치 및 개최를 위한 결의안'을 전달한 뒤 함께 퇴장하고 있다/제공=국제뉴스DB
김진표 국회의장이 3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장인 파트릭 슈페히트 행정예산위원장과 실사단에게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성공적 유치 및 개최를 위한 결의안'을 전달한 뒤 함께 퇴장하고 있다/제공=국제뉴스DB

실사단을 위한 다채로운 문화‧체험행사도 진행된다.

실사단은 3일 저녁 광화문 광장 부산엑스포 유치기원 행사('광화에서 빛;나이다', 3/30일~4/3일)에 참여해 우리 국민들의 부산엑스포 유치 열기를 직접 체험한다

4일에는 부산 을숙도 생태공원을 방문해 2030부산엑스포 주부제의 하나인 '자연과의 지속 가능한 삶'(Sustainable Living With Nature)의 실현을 현장에서 확인하고, 치료가 끝난 동물들을 자연으로 돌려 보내는 체험을 할 예정이다. 

5일 저녁에는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개최되는 'K-Culture Night'에 참석해 글로벌 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K-Culture를 직접 느껴볼 것으로 기대된다.

6일에는 UN이 지정한 세계 유일의 '부산 UN기념공원'을 방문해 엑스포를 통한 세계 평화 구현이라는 의미를 확인하고, 마지막 피날레로 6일 저녁 광안리해수욕장에서 진행되는 '엑스포 불꽃쇼'를 참관할 예정이다.

부산시와 유치지원단은 5박 6일 일정의 실사과정에서 대한민국과 부산의 엑스포 유치 열기, 개최역량을 실사단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지난 6개월간 철저히 준비를 했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기관의 힘을 보탰다. 

부산시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물론 대한상공회의소, 해양수산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외교부 등이 실사 준비에 적극 참여했다. 

부산시는 부산 현지 일정을 총괄하면서 을숙도 생태공원, UN기념공원, 엑스포 불꽃쇼 등 부산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여주기 위한 일정을 기획하고 준비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사무국으로 경제인 오찬뿐만 아니라, 실사기간 중 서울과 부산의 주요 지역 전광판 광고 등 실사단 방문 계기 국민적 유치 열기 붐업 형성을 위해 노력했다.  

해양수산부는 유치계획 발표 참여와 북항 홍보관 개보수를 적극 지원했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여러 차례에 걸친 관계부처 홍보대책회의를 통해 현지실사 계기 엑스포 홍보를 꼼꼼하게 챙겼다. 

외교부 또한 BIE와의 실사 협의를 지원하는 한편, 최재철 주불대사가 윤상직 유치위원회 사무총장과 실사단 전체 일정을 동행할 계획이다.

2030년 세계박람회 개최지는 이번 현지실사와 6월말 172차 BIE 총회에서 이뤄질 4차 경쟁 프리젠테이션을 거쳐, 11월말 173차 총회에서 171개 BIE 회원국 투표로 결정된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