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오늘밤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개기월식이란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으로 정확하게 위치할 때,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모습이 보이는 희귀 천문현상을 의미한다.
이번 개기월식은 2018년 1월 31일 이후로 저녁시간에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는 개기월식이다.
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달의 표면은 붉은 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지구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중 파장이 긴 붉은색의 빛이 굴절되어 달 표면에 닿기 때문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8일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고 예보했다. 이번 월식은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부분식부터 관측 가능하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부분식은 18시 8분 48초에 시작된다.
이후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식은 19시 16분 12초에 시작되며 19시 59분 6초에 최대, 20시 41분 54초에 개기식이 종료된다.
이후 부분식이 다시 진행되어 22시 57분 48초에 월식의 전 과정이 종료된다. 이번 월식은 아시아, 호주, 아메리카, 태평양에서 볼 수 있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장 깊게 들어가는 ‘최대식’ 시각은 19시 59분인데, 이때 달의 고도가 약 29도로 동쪽에 시야가 트여 있는 곳에서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개기식 시작인 16분에서 20시 41분까지 약 85분 동안은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 때문에 평소보다 어둡고 붉은 달을 볼 수 있다.
[개기월식은 어떤 원리로 일어나게 될까]
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보름달일 때에 일어나며 지구가 밤인 지역에서는 어디서나 볼 수 있다. 그러나 달의 궤도와 지구의 궤도가 약 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보름달일 때도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반영월식, 부분월식, 개기월식의 차이]
지구의 그림자는 본그림자와 반그림자로 나눌 수 있다(그림 4 참조). 본그림자는 그림자의 중심 지역에 해당하며 본그림자 안에서는 태양 빛에 완전히 가려진다. 반면 반그림자는 그림자의 외곽 지역에 해당하며 이 때 달은 태양 빛의 일부밖에 받지 못한다.
달이 반영에 들어가기 시작하면 반영월식이 시작된다.
반영월식이 일어나는 동안 달은 모양이 그대로인채 미세하게 어두워진다.
달이 지구 본영에 부분적으로 가려지면 부분월식(부분식)이라고 하며, 달이 지구 본영 속에 완전히 놓이면 개기월식(개기식)이라고 부른다.
개기월식 때 달이 검붉게 보이기 때문에 종종 '블러드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개기월식 때는 왜 달이 붉게 보일까]
지구 대기를 지난 태양 빛이 굴절되어 달에 도달하는데, 지구 대기를 지나면서 산란이 일어나 붉은빛이 달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월식이 일어날 때마다 달의 붉은색이 조금씩 다르게 보이는데, 이를 통해 지구 대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지구는 둥글다는 것은 어떻게 알았을까]
월식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현상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월식을 관측하다가 달에 드리운 그림자가 지구의 그림자이며, 그림자를 통해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개기월식 공개관측행사장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은 특별한 천문현상인 개기월식을 쉽게 관측할 수 있는 공개관측행사를 과천시 정보과학도서관과 과천여자고등학교가 공동으로 과천 중앙공원 분수대 일원에서 개최한다고 전했다.
행사 일시는 11월 8일(화) 18:00부터이며 월식관측과 만들기 체험, 대형 월면구 포토존 등을 운영하며, 사전접수없다.
[제주별빛누리공원]
제주별빛누리공원은 8일 오후 18시부터 천체관측을 무료로 진행한다고 전했다.
관측프로그램은 보름달 관측, 망원경 만들기, 유튜브중계, 4D영상관, 천체투영실 관람할 수 있다.
[보현산천문과학관]
경북 영천 보현산천문과학관은 유튜브 채널 '보현산별빛축제' 에 개기월식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 4k 화질로 찍은 달의 영상과 재미있는 이야기거리들과 함께 개기월식 중계방송을 하며, 11월 8일 저녁 6시 20분 부터 저녁 9시 까지 진행된다고 전했다.
개기월식 오프라인 관측회는 보현산천문과학관 앞마당에서 진행되며 천문과학관은 운영을 하지 않고 앞마당에 천체망원경들을 설치해놓고 개기월식 관측행사를 진행한다.
[천안홍대용과학관]
충남 천안홍대용과학관은 "개기일식 관측행사" 를 온라인 비대면 행사로 운영한다.
유튜브 "천안홍대용과학관" 검색후 참가하면되니다. 개기월식 진행과정 생중계 방송과 천왕성 엄폐현상 진행과정 고배율 생중계 방송한다.
[곡성섬진강천문대]
곡성섬진강천문대에서는 오는 2022년 11월 08일 개기월식 관측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개기월식은 ‘블루문’, 개기월식이 한창일 때 나타나는 ‘블러드문’, 타원 궤도를 도는 달이 지구에 가까워지며 더 밝고 크게 보이는 ‘슈퍼문’
달의 세가지 얼굴을 한번에 볼 수 있을 예정이다.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누구나 별도의 신청 없이 세종영재학교 옥상 천문대를 찾으면 참여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8일 오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이며, 학교 주차장은 사용할 수 없다. 세종영재학교 1층 로비에서는 학생들이 촬영한 일주운동 사진, 별자리 사진, 은하수 사진 등이 전시된다.
관련기사
송성희 기자
yongdsc@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