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국제뉴스) 손병욱 기자 = 2026년 국내 건설·주택 시장은 회복 조짐과 불확실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혼합 국면'에 진입할 전망이다.
고금리와 PF 시장 경색, 지방권 미분양 누적 등 구조적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금리 안정 흐름으로 부분적 개선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러나, 부동산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 정상화 없이는 시장 안정도 없다"는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2023년부터 위축된 건설투자가 내년부터 서서히 바닥을 벗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SOC 예산 확대, ▲노후 인프라 개선, ▲도심 재정비 등 공공투자가 늘어날 경우 건설생산은 마이너스 국면에서 점진적인 회복세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PF 차환 부담, △건설사 재무 악화, △자재·인건비 상승 등은 여전히 발목을 잡는 요소다. 특히, 민간 분양 지연과 지방 미분양 누적은 건설투자의 회복 속도를 늦추는 주요 변수다.
최근, 정부가 연이어 내놓은 부동산 대책은 ▲도심 공급 활성화, ▲정비사업 규제 정비, ▲공공·민간 PF 지원 등에 정책 효과가 나타나려면 결국 주택 공급 물량이 시장에 실제로 투입돼야 한다. 즉, 주택 공급 없이는 시장 안정 또한 멀어 보인다.
내년 주택시장은 지역별 온도 차가 한층 더 뚜렷하게 벌어질 전망이다. 수도권 핵심 지역은 재개발·재건축 지연과 착공 감소로 공급 절벽이 심화되면서 가격 상승 압력이 강하게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매매와 전세 모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지속적인 수급 불균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반면, 지방 중소도시는 인구 감소와 미분양 누적, 산업 기반 약화 등으로 수요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공급 부족과 수요 부족이 동시에 발생하며 시장 양극화는 한층 구조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공공 발주 확대는 경기 회복 신호를 만드는 출발점일 뿐이며, 자금시장 불안과 공급 지연이 지속될 경우 경기 반등 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수도권은 공급 절대량이 턱없이 부족한 반면, 지방은 수요 기반 자체가 약화돼 있어 내년에는 지역별 ‘극과 극’ 현상이 더욱 확고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는 시장 회복의 핵심 단기 변수로 꼽히며, 내년에 금리 완화 흐름이 뚜렷해지면 실수요자의 매수 심리가 개선되고 전세 시장도 안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전세는 입주 물량 감소로 전반적으로 불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역전세 리스크가 지속될 수 있다.
본지 기자는 내년을 건설·주택 시장의 "진짜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PF 구조개편, ▲정비사업 절차 혁신, ▲재개발·재건축 규제 개선, ▲공공·민간 협력사업 효율화 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경기 회복은 단기간에 그칠 수 있으며, "2026년은 회복의 기회이자, 주택 공급 정상화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마지막 경고"라고 밝힌다.
관련기사
손병욱 기자
tednom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