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대비 선제적인 비상수송대책본부 가동▸ 열차운행 필수인력 투입을 통한 최소 열차 운행률 63.5% 확보▸ 비조합원 및 본사인력 투입을 통한 지하철 역무기능 유지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대구=국제뉴스) 백운용 기자 = 허준석 대구광역시 교통국장은 "市가 파업 대비 선제적인 비상수송대책본부 가동하고 열차운행 필수인력 투입을 통한 최소 열차 운행률 63.5%를 확보하며 비조합원 및 본사인력 투입을 통한 지하철 역무기능 유지에 앞장선다"고 말했다.

대구광역시에 따르면, " 대구교통공사 노조가 교섭 결렬 시 21일 시한부 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신속한 가동에 나선다."고 전했다.

대구광역시는 "노조 파업 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도시철도 1 ‧ 2호선 운행 횟수가 기존 296회에서 188회로 줄어 열차 운행률이 평시 대비 36.5% 감소하고 ▲낮 시간대 5 ~ 8분인 배차시간이 13분대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대구광역시는 "▲비상교통상황실 설치 운영(대구시, 교통공사, 버스조합 등) ▲대시민 홍보(주요 언론사, 도로전광판, 버스정보안내기 등) ▲열차운행 필수인력(292명) 투입을 통한 최소 열차 운행률 확보(63.5%) ▲비조합원 및 본사인력 투입을 통한 역무기능 유지 등 주요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언급했다.

한편, 대구광역시는 "추가 파업에 대비해 ▲지하철 1 ‧ 2호선 전세버스 대체투입 준비 ▲시내버스 예비차량(86대) 투입 ▲시 공무원 배치를 통한 역사 운영 지원 ▲파업 진행 상황에 따라 관용차량 동원 등 단계별 비상수송대책을 추진해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강조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paekting@naver.com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