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제주도의회, 도 교통항공국 예산심사…행정체제개편 시즌2 우려
승인·예타도 없이 9,500만원 홍보비 논란… "일방적 홍보 갈등 부추겨"
연간 운영비 현실성도 지적…수소트램 운영비 연 18억3천만원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도가 추진 중인 ‘제주형 수소트램’ 도입 계획이 제주도의회 예산심사에서 부정적인 시각이 흘러나왔다. 사업 승인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홍보예산을 편성한 데 대해 “행정체제개편 시즌2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들이 쏟아졌다.
20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위원장 정민구) 제444회 제2차 정례회 제주도 교통항공국 등에 대한 2026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환경도시위원들은 “사업 통과 여부가 불투명한데 장점 중심 홍보부터 하는 것은 문제”라며 일제히 우려를 제기했다.
이날 예산심사에서 가장 큰 논란은 홍보·사례조사비 9,500만 원이 내년도 예산안에 포함된 점이었다.
![국민의힘 김황국 의원(용담1.2동)은 "내년 예산된 수소트램 홍보 예산들을 보면, 기초자치단체 부활과 관련해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장면이 오버랩 된다"며 "정부의 승인도 되지 않았는데 홍보부터 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사진=제주도의회]](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11/3434110_3571355_3635.jpg)
국민의힘 김황국 의원(용담1.2동)은 "내년 예산된 수소트램 홍보 예산들을 보면, 기초자치단체 부활과 관련해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장면이 오버랩 된다"며 "정부의 승인도 되지 않았는데 홍보부터 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홍보에 대해 찬성쪽 긍정적인 부분만 홍보하는 것은 안된다고 본다"며 "트램의 장점도 분명 있겠지만, 단점도 있다. 트램이 지나는 구간의 교통정체 등 불편한 부분에 대해서도 홍보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이도2동을) “제주형 트램 도입은 2032년 전후가 될 전망인데, 지금 홍보 예산이 필요한지 의문”이라며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처럼 일방적인 홍보(장점)가 아닌 공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현재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상태다. 이 계획이 승인돼야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되며, 예타를 통과해야 최종 추진 여부가 결정된다.
사업 규모는 총 5,932억 원, 이 중 3,176억 원(60%)이 국비로 충당될 예정이다. 노선은 제주항~동문시장~제주공항~연동사거리~노형오거리~1100도로까지 총 12.91km다.
이에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총 5천억 원이 넘는 대형 사업인 만큼 타당성과 경제성, 공사 기간 교통정체 등 현실적 불편을 먼저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제주도는 내년이 사업의 향방이 결정되는 중요한 해 임을 강조했다
김영길 제주도 교통항공국장은"예타 평가에서 ‘도민 수용성’이 핵심"이라며 "공청회와 토론회를 통해 의견을 모으기 위한 최소한의 예산"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제주도의회는 승인 여부도 모르는 상황에서 장점 중심 홍보부터 추진되는 것이 맞느냐는 근본적 문제를 제기하며, 홍보 시점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날 연간 운영비의 현실성도 쟁점으로 떠올랐다.
제주도는 수소트램 7대를 운영할 경우 연간 수소 327톤, 비용 18억3천만 원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한동수의원은 "개인적으로 트램에 대해 찬성하지만, 그 연료에 대해서는 고민이 있어야 한다"며 "수소로 운행을 하게 되면 (연료비가)얼마나 들게 되는지 확인이 됐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사진=제주도의회]](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11/3434110_3571356_379.jpg)
이날 한 의원은 "개인적으로 트램에 대해 찬성하지만, 그 연료에 대해서는 고민이 있어야 한다"며 "수소로 운행을 하게 되면 (연료비가)얼마나 들게 되는지 확인이 됐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현재 그린수소 단가를 감안하면 지나치게 낮게 잡힌 수치라며 한 의원이 거듭 문제를 제기했다.
한 의원은 "초기에는 블루수소·그레이수소 등 현실적 대안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라며 "장기적으로는 그린수소가 맞지만, 현실에 맞는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며 도입 시점의 연료는 '그린수소'가 아닌 블루수소 등 다른 고민도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정민구 위원장은 "만약 제때 그린수소 생산이 안 되면 결국 육지에서 들여와야 한다”며 공급 안정성과 비용 전반을 재검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2417@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