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국제뉴스) 주영곤 기자 =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실종자 수색 작업의 장애가 되는 보일러 타워 2기를 발파·해체 준비 작업이 막바지에 들어갔다.
발파가 임박하면서 경찰이 지난 10일 오후 6시부터 발파 지점 반경 300m에 안전구역을 설정 주변을 통제하고 있어 이르면 오늘 발파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0일 오후 현장 브리핑을 통해 "발파 대상인 4·6호기 보일러 타워 계측을 실시한 결과 기울어진 각도가 허용 범위 내로 측정됐다"며 "발파 시 비산방지를 위한 방호 조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사전 취약화 작업은 구조물 철저 전 타워가 잘 무너지도록 중간 중간에 끼어있는 철골 구조물과 기둥 등을 미리 잘라 놓는 절차다.
붕고 사고가 난 보일러 타워 5호기의 양옆에 있는 붕괴 위험의 4호기와 6호기가 발파 대상이다. 이 중 4호기는 사전 취약화 작업이 이미 끝났으며, 6호기는 약 75% 정도 진행 중이다.
정확한 발파 시기는 알수 없지만 돌발 변수가 없다면 조만간 발파가 이뤄질 전망이다. 중수본은 발파 일시가 확정되면 발표할 예정이다.
발파 작업은 붕괴 사고가 난 5호기의 발파·해체를 맡았던 업체 코리아카코가 담당한다.

오영민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감독국장은 브리핑에서 "현재 이 보일러 타워 구조는 코리아카코가 가장 많이 알고 있다"며 "다른 업체가 새로 맡는다면 작업계획서를 다시 짜는 등 시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현재는 각 보일러 타워의 높이 1m 지점과 13m 지점에 취약화 작업이 진행됐다.
소방당국은 “발파가 문제 없이 끝나면 현장 안전 확인 후 곧바로 5호기에 매몰돼 있는 실종자와 사망 추정자 수색·구조을 위해 인력과 장비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사고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께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3기(4·5·6호기) 중 5호기의 취약화 작업 중 발생했다.

당시 작업자 9명 중 8명은 60m 높이 구조물의 25m 지점에서 작업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나머지 한명은 구조물 외부에서 작업 중이었다. 사고 직후 2명은 곧바로 구조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번 사고로 현재까지 인명피해는 사망 3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 부상 2명이다.
이번에 울산화력발전소 타워 붕괴된 구조물은 연료를 태워 스팀을 생산한 뒤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시설이다. 1981년 준공된 후 2021년 가동이 중단됐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news0024@naver.com
관련기사
주영곤 기자
news002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