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 확보 청년 농업인 현실적 부담 줄이는 정책, '눈길'
임차료 50%·최대 100만 원, 최대 3년간 지원… 신청 26일까지

서귀포시가 농촌 고령화와 청년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농업인 농지 임대료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청년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농지 확보 부담을 덜어 안정적인 영농 정착을 돕겠다는 취지다.[사진=서귀포시청사]
서귀포시가 농촌 고령화와 청년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농업인 농지 임대료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청년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농지 확보 부담을 덜어 안정적인 영농 정착을 돕겠다는 취지다.[사진=서귀포시청사]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서귀포시가 농촌 고령화와 청년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농업인 농지 임대료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청년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농지 확보 부담을 덜어 안정적인 영농 정착을 돕겠다는 취지다.

서귀포시는 오는 26일까지 ‘청년농업인 농지 임대료 지원사업’ 신청을 받는다. 지원 대상은 만 19세 이상 45세 이하 청년농업인으로, 농업경영체 등록을 마치고 농지은행을 통해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실경작자다.

지원 기준은 농지 임대료의 50%로 최대 100만 원까지, 최대 3년간 지원이 가능하다. 다만 매년 신청 절차를 거쳐야 하며, ▲청년창업형후계농 ▲일반 청년농업인 순으로 우선 지원된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농촌 사회 구조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주목된다.

농촌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전체 농업인 중 청년 비중은 2% 안팎에 불과하다. 청년층이 농업에 뛰어들고 싶어도 ▲땅값 상승과 임차료 부담 ▲초기 시설 투자에 따른 부채 ▲농사 경험 부족 ▲불안정한 소득 구조 때문에 진입 장벽이 높은 게 현실이다.

특히 청년농업인의 가장 큰 고민은 농지 확보다. 일부는 대출에 의존해 농지를 임차하지만, 수익이 안정되기 전까지 상환 부담이 커 영농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이번 임대료 지원은 청년 농업인의 현실적 부담을 직접 줄여주는 정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고봉구 서귀포시 친환경농정과장은 “이번 사업은 청년농업인들의 농지 확보 부담을 덜어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돕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청년들이 농촌에서 희망을 갖고 농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