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제주도의회 환도위, 개발공사 사장 예정자 인사청문회
김기환, 부동산 투기의혹 집중 추궁…3억 시세차익 해명 요구
현기종, 파행사태 직간접적으로 비판한 오영훈 지사 발언 반박
![백경훈 제주도개발공사 사장 예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지난달 31일 파행된데 이어 5일 다시 열린 가운데 김기환 의원과 현기종 의원이 인사청문회 파행 사태와 부동산 투기의혹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사진=제주도의회]](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304/2690156_2711928_5350.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백경훈 제주도개발공사 사장 예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지난달 31일 파행된데 이어 5일 다시 열렸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는 5일 오전 10시 제414회 임시회 회의를 열고 백경훈 제주도개발공사 사장 예정자에 대한 청문회를 속개했다.
백경훈 제주도개발공사 사장 예정자는 "지난 인사청문회에서 자료 부실과 답변자료 미비로 인사청문회가 파행된점에 대해 “자료를 성실하게 내지 못했는데 이에 무지했고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거듭 고개 숙였다.
이날 환도위 위원들 파행사태, 부동산 취득과 백경훈 예정자 아들의 외국국적 취득 등을 집중 추궁했다.
김기환 의원(더불어민주당, 이도2동 갑)이 파행 사태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예정자의 부동산 투기 의혹, 자녀의 병역회피 의혹 등 집중 공세에 들어갔다
김 의원은 먼저 지난 인사청문회 자료 부실 제출에 대해 인정하느냐고 묻자 백경훈 예정자는 지적에 공감한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추가 자료를 보면 일부러 누락시킨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백 예정자는 "자료가 늦게 취합됐고, 자료 제출기한이 지나버려 그렇게 됐다"며 "결과적으로 제 불찰이다"라며 거듭 사과했다.
김 의원 이어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하면서 “경기도 화성시에 2억3천만원에 분양 받은 후 2년 정도 소유하다 5억3천에 매매하며 3억원 정도의 시세차익을 얻었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백경훈 예정자는 “내 집 마련을 위해 화성시에 분양을 받았으니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015년 진주시로 이전하게 됐고, 또다시 제가 서울로 발령을 받으면서 거주가 어려워 매각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임정은 의원은 2021년 백 예정자 아들의 외국 국적 취득에 따른 병역 의혹을 제기했다.[사진=제주도의회]](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304/2690156_2711932_5756.jpg)
임정은 의원(대천.중문.예래동)은 2021년 백 예정자 아들의 외국 국적 취득에 따른 병역 의혹을 제기했다.
임 의원은 “초등학교 때 유학을 가서 2021년 오스트리아 국적을 취득했다”면서 “외국 국적 취득 전까지 병역의무를 위한 노력은 했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백경훈 예정자는 “우리나라는 병역법에 따라 이중국적이 안 되기 때문에 아들에게 병역의무를 마칠 때 경쟁력이 훨씬 높다고 조언한 바 있다”며 “그렇지만 아들이 6개월 이상 해외 이주시 시민권 재취득이 어렵기 때문에 아들의 의견을 존중하기로 했다”고 해명했다.
현기종 의원(성산읍)은 직전 인사청문 파행 문제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현 의원은 "오늘 제출받은 보완 답변서 등을 보면, 지난 청문회에 제출된 자료가 매우 부실하고 허위였음이 명백하게 드러났다"며"이는 청문회를 무력화시키려는 태도로 비춰질 수 밖에 없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특히 현 의원은 파행사태를 직간접적으로 비판한 오영훈 제주도지사의 발언에 반박했다.
당시 오영훈 지사는 기자들과 간담회 자리에서 "청문이 연기되려면 명확한 사유가 있어야 하는데 구체적인 근거가 있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인사청문에 파행을 두고 불편한 시각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오늘 추가 제출된 자료를 보면 청문을 연기할 이유가 차고 넘친다"며 "도정과 소통만 되면 의회를 무시하고 도민을 기만해도 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하며 "집행부 입맛에 맞는 인사들을 임명하는데 의회가 거수기 역할을 해달라는 것"이냐고 항변했다.
이에 대해 백 예정자는 청문회 파행 원인은 자신에게 있다"며 거듭 사과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2417@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