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리 비대위, 제주도 갈등해소 방안 발표에 따른 입장문 발표
"보상이란 말로 본질 왜곡하지 말라, 우리는 보상을 원하지 않는다"
"도, 세계자연법 위반 세계자연유산보호 협약 무시한채 증설 강행"
![월정리 마을회, 동부하수처리장증설반대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 용천동굴하류유네스코등재운동 전국서명위원회는 7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과 김한규 제주시을 국회의원에게 용천동굴하류 보존대책을 세우고 세계자연유산을 훼손하는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철회에 대한 앞으로의 계획을 밝혀줄 것으로 촉구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208/2520735_2521235_1815.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제주도가 주민 반발로 6년째 멈춰선 월정(동부)공공하수처리장 증설 관련 갈등을 해소해보겠다며 갈등 해소방안을 발표했지만, 마을 주민들은 '일방적인 증설을 전제로한 보상'은 필요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 월정리 마을회 측(이하 ‘월정리비대위’)은 제주도의 동부공공하수처리장 갈등해소 방안을 발표한지 2시간이 지난 후 바로 긴급 성명서를 통해 "제주도가 보도자료 도입부부터 또 ‘보상’을 논하고 있다며, 이것이 “주민을 철저히 무시한 권위주의적 행태”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제주도가 일련의 상황에 대해 일방적인 보상에 초점을 맞추며 본질을 왜곡했다고 주장한다.
주민들은 "현재 제주도정은 세계유산법을 위반하고, 유네스코와 맺은 세계자연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을 무시한 채 제주동부하수처리장 증설사업을 강행하려 하고 있다"며"세계자연유산 용천동굴이 동부하수처리장으로부터 불과 115m 떨어져 있지만, 제주도정은 유네스코에 이를 보고하지 않고 하수처리장 준설, 증설을 진행했다"고 지적했다.
또 "오영훈 지사는 지난달 21일 월정리 마을회를 찾아 주민들과 대화를 나눈 후 발표된 일방적 보도자료에도 황당했다"며 "이에 우리는 다음날(22일) 성명을 통해 월정리는 '보상이라는 말로 월정리민을 현혹하려 하지 마라. 월정리민은 보상을 원하지 않는다'라는 입장을 분명히 전했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제주도는 오늘(1일) 오전 또 다시 일방적 보도자료를 발표를 했고, 그 내용 또한 도입부터 보상을 논하는 내용이 담겼다"며 "보도자료를 접한 후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오영훈 도정은 7월 21일 월정리 주민과의 만남 이후, 월정리 마을회와 그 어떤 논의도, 대화도 진행한 사실이 없다"며 "그런데 무엇을 근거로 보도자료에서 '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논하는 건가"라고 따져물었다.
특히 "주민이 참여하는 협의를 구성한다고 했는데 협의체 구성원이자 당사자인 월정리 마을은 왜 이처럼 중요한 사실을 보도자료를 통해 알아야 하는 것"이냐며 "지금 제주도정의 이 같은 행태는 주민을 철저히 무시한 권위주의적 행정의 행태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주민들은 "오영훈 지사는 진정 우리 월정리 마을을 두동강내기를 원하나"라며 "강정 해군기지, 선흘 동물테마파크 때처럼 자본으로 일부 주민을 현혹시켜, 주민 간 갈등이 발생하길 원하는 것이냐"고 성토했다.
주민들은 오영훈 도정에 더는 보상이라는 말로 본질을 왜곡시키지 말아달라"고 강력한 경고의 메세지와 함께 보상이라는 말로 마을을 두동강 내려는 시도를 멈출 것"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피해 당사자인 월정리민은 쏙 빼고, 언론을 이용해 진실을 호도하려는 이 같은 행태에 대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