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장관 '지소미아 정상화' 발언은 북한 위협 한미일 협력 대응 원칙적 입장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외교부는 14일 북한이 상황판단을 잘못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한미 양국 각자와 유엔 등 국제무대 차원의 광폭 제재 조치 방안 등을 논의됨을 밝혔다.
최영삼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브리핑을 통해 "한미 외교부장관회담에서 고위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조기 재가동과 북한 핵 문제, 핵실험 재개 동향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이 있었고 만에 하나 북한이 상황판단을 정확하게 하지 않고 강행할 경우 한미 양국이 각자 또는 유엔 등 국제무대 차원에서 그리고 한미 양국의 상호 방위태세 차원에서 어떠한 일들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충분하게 의견을 교환이 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진 외교부 장관의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GSOMIA) 정상화 발언은 "북한 위협 대응을 위해 지소미아 등 한미일 안보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고 이해를 구했다.
최영삼 대변인은 '새 정부는 일본 수출 규제 해제 없이 지소미아 정상화 가능하다고 판단하느냐'는 질문에 "외교부를 포함해 정부는 일본 등 국제사회와 함께 관련 소통을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또 '지소미아 중단이 유예된 상태에 정상화 언급은 중단을 철회 절차를 밝아나갈 계획도 포함돼 있느냐'는 질문에 "장관의 말씀은 북한 위협 대응을 위해서 지소미아 등 한미일 안보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라는 우리의 원칙적인 입장과 목표를 표명하신 것이고 이 입장과 목표를 위해서 우리는 일본 정부든 국제사회와 관련 소통 노력을 시작해 나갈 것"이라고 거듭 설명했다.
최영삼 대변인은 '미국 측이 지소미아 정상화에 대한 요청' 여부 가능성에 대해 "한미 간에는 여러 가지 공동 관심사에 대해 폭넓게 격의 없는 소통이 상시 이루어지고 있다며 한반도 문제를 포함해 동북하의 안보 문제와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소통들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박진 외교부 장관의 방일 시기에 대해 "한일 양국 외교장관은 지난 9일과 5월 9일 한일외교장관회담에서 하야시대신이 박진 장관에게 일본 방문을 초청한 바 있고 이에 대해 박진 장관도 양측이 상호 편리한 시기에 방일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구영회 기자
asianews24@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