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 “(사업)초안 작성 중”...도의회, 도민설명회, 공청회 등 공론화-공감대 형성에도 나설 뜻 내비쳐

▲ 4일 제주도의원들의 도정질문에 답변하는 원희룡 제주도지사.

(제주=국제뉴스) 고병수 기자 =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4일 오후 제주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64회 제주도의회 제1차 정례회에서 고용호 의원(민주당, 사귀포 성산읍)의 블록체인 허브도시 관련한 질문에 답변하며 "(블록체인 특구는)기업투자유치 프로젝트 중 하나"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 지사는 "제한적 암호화폐를 거래하자. 제주도가 블록체인이 활성화된 스위스 주크, 지중해 몰타, 인구 200만의 에스토니아, 필리핀 등으로의 국부유출 막고 제주도에 우수기업 판을 만들어 주자"며 "전 세계 우수기업들이 제주로 오겠다고 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지자체장 후보들이 블록체인을 너도나도 공약으로 내세웠다"며 "부총리와 대통령을 만났을 때 이를 (선제적으로)제안했다"고 밝혔다.

그는 고용호 의원의 보충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제주에 (블록체인 특구가)본격적으로 만들어 지면 전문직 일자리 등 새로운 활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또한 "특구가 되면 (블록체인)우량기업의 법적차단 효과도 있다"고 밝히며 부정적 이슈에 대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소견도 밝혔다,

원 지사는 "현재 (블록체인 사업에 대한)초안 작성 중이다. 의회(소통), 도민설명회, 공청회 등을 하겠다"고 말해 도민을 위한 공론화와 공감대 형성에도 나설 것임을 내비쳤다.

▲ 고용호 제주도의원.

한편 고용호 의원은 일괄질문. 일괄 답변 형식 도정질문에서 "원희룡 지사의 ‘블록체인 특구 지정 요청’은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실제 국내·외에서 블록체인과 이와 연관된 암호화폐가 뜨거운 감자인 것은 사실"이라며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부정적 이슈로는 기술의 불완전성과 암호화폐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기와 투기, 돈세탁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 의원은 "제주도의 블록체인 특구 지정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 물었다.

또한 그는 "여전히 도민들에게는 블록체인이 낯선 개념으로 원희룡 지사가 최근 제시하는 블록체인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 채 어리둥절해 하고 있다"며 "제주의 열악한 자본 및 자원과 전문 인력, 보안 및 금융솔루션 등 관련 산업 생태계의 부재로 인해 블록체인 허브도시가 되기에 구조적으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며 원희룡 지사의 견해를 물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