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국민의당 중앙선대위 미래준비본부(본부장: 국회의원 오세정)는 민간과의 협치를 통해 산업 미래전략을 추진할 실무그룹으로 '4차 산업혁명 전략추진단'을 발족했다.
오세정 본부장은 "말뿐인 4차 산업혁명 대비가 아닌 실질적인 안을 만들고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시급하게 요구된다"면서 "앞으로 추진단이 정책의제 설정과 추진의 구심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민간의 연구, 산업, 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단은 지난달 29일 발족했다.
단장으로 공동 선임된 김동연 회장(전 텔슨전자 회장, 한국금융플랫폼 회장), 김수동 교수(전 국가미래창조경제기획단 단장,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문형남 교수(숙명여대 교수, 창조경제스마트뉴딜실천연합 공동대표)는 "대다수의 4차 산업혁명관련 전문가 그룹이 안철수 후보의 전문성과 미래비전에 동의하고 있다"며 "향후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것이 실질적으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단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추진단은 조장희 교수(전 가천의과대학교 뇌과학연구소 소장), 최안용 회장(전 KT 이사회 상임이사, IT타임즈 회장), 전덕영 교수(전남대학교 교수)을 고문으로 위촉하고 부단장 9인, 특보 50인으로 구성됐다.
발족식에 참석한 오세정 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혁신 전략의 구상과 추진단의 헌신적인 노력"을 당부했다.
이 같은 역할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추진단은 4일 '집단지성 기반 4차 산업혁명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안철수 후보의 미래준비에 적극 참여키로 했다. 여기에는 추진단의 3대 목표와 11대 과제가 포함됐다. 더불어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정책 건의사항도 더했다. 지속적으로 의견을 청취 반영할 수 있도록 집단지성 네트워크의 강화를 강조했다.
추진목표로는 ▲민간-정부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 ▲현장감 있는 정책지원을 통한 안철수 후보의 미래전략 강화 ▲추진단의 연구-산업-교육 간 네트워크 확장을 통한 집단지성 강화를 내세웠다.
11대 추진전략에는 ▲민간주도의 글로벌 표준체계 개발 ▲사회혁신 의제개발 ▲제도합리화의 민간중심 정책구상 ▲무크 4.0을 통한 국가 무상 융합·기술 교육 등 구체적 과제가 담겼다.
전문가 간담회를 통한 현안제시도 중요하게 다뤘다. ▲공유경제를 위한 제도혁신방안 구상 ▲고령화 사회의 4차 산업혁명 활용방안 연구(재택근무 통한 부모돌봄) ▲공공데이터 공개를 위한 표준화, 제반제도 마련 ▲핀테크 등 금융혁신을 위한 제도보완 ▲투자손실에 대한 세제혜택 등이 제안됐다.
이과 관련, 국민의당 오세정 미래준비본부 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 전략추진단의 이번 전략제안은 그동안 정부주도의 산업전략과 차별화 됐다"고 밝히며 "아직 정책화 되지 못한 첨단산업의 고민까지 제도화 할 수 있도록 꾸준한 의제개발에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김옥빈 기자
obkim515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