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사진=공식 홈페이지)
리플(XRP) (사진=공식 홈페이지)

XRP 현물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시장에서는 비트코인 현물 ETF 때와 같은 자금 유입 시나리오가 재현될지 주목하고 있다.

카나리 캐피탈의 XRP 현물 ETF(XRPC)는 출시 직후 2억4,5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유치한 뒤 2억7,782만 달러로 성장하며, 비트코인 ETF의 첫날 기록을 웃도는 성과를 보였다.

이 같은 초기 수급 흡수력은 향후 추가 유입과 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하고 있다.

온체인 지표도 이를 뒷받침한다. 크립토퀀트 집계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보유한 XRP 잔고는 최근 몇 주간 꾸준히 감소해 12일 기준 약 27억8,500만 개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거래소 보유량 감소가 기관·장기 보유자에 의한 흡수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기관 수요 전망도 강하다. JP모건 계열 애널리스트들은 XRPC 출시 시 첫해 순유입이 40억~8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고, 일부 암호화폐 분석가들은 시나리오별로 XRP 가격을 수달러에서 수십달러까지 제시하기도 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 1년 만에 대규모 유입(약 362억 달러)과 함께 가격을 두 배가량 끌어올린 점을 유사 사례로 들며, 동일한 패턴이 XRP에서도 발생한다면 단기적·중장기적 가격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는 관측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초기 자금 유입과 온체인 호흡이 실제 장기 매수로 이어질지, 규제 리스크·거시시장 변동성·알트코인 전반의 유동성 변화가 어떻게 맞물릴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