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국제뉴스) 조광엽 기자 = 지방선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태에서 일관성 없는 전주시의 행정 추진이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이는 공정과 원칙이 상실 된 행정추진과 각종논란과 특혜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전주시가 진행한 2억 4000만원 규모의 전주종합 경기장 철거공사 감리용역은 2000만원이 넘기때문에 현행법상 경쟁입찰이 원칙이다. 하지만 전주시는 수의계약으로 업체를 선정 한 것이다.
A업체는 이전에 1900만원 짜리 해체계약서 용역도 수의계약으로 따내 적이 있다.
문제는 이 A업체가 감리실적도 없구 경험도 부족한 신생업체라는 점이다. 전주시는 이 A업체가 경기장 해체작업을 작성했기때문에 예외규정을 적용했다고 하지만 도무지 이해가 안가는 대목이다.
결국은 1900만원 수의계약이 2억 4000만짜리 수의계약으로 이어졌고, 게다가 이 A업체를 처음에 누가 지목했는지에 대한 설명도 전주시 종합경기장 개발과와 덕진구청과의 말도 상이하다
전주시의 돌아오는 공통적인 대답은 '특혜는 없었다' 이다
이런 의혹은 또 있다.
전주시의회 전윤미 의원과 그 가족이 윤영하는 업체에 소상공인 지원예산 1억 800만원의 75%인 7000만원을 몰아준것 역시 논란이 되고 있다.
또 한차례는 전윤미 가족이 운영하는 미용실만 별도로 홍보까지 해 줬다. 그런데도 전주시는 역시 몰랐고 '특혜는 없었다'는 입장만 반복한다.
또한 전주시는 도시공원 특례사업도 마찬가지 70%의 공원을 확보한다는 명분아래 민간업자에게 개발을 허용했지만, 결국은 전주시 스스로 난개발을 부추기고 있다는 비만을 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는 공원부지를 매입하라고 20년이라는 유예기간을 설정했지만, 전주시는 그 긴세월동안 방치하고 있다가 땅갑이 다섯배나 오른 지금에야 천문학적인 빚을 내며 공원을 사들이려는 건지 납득이 되지 않는 대목이다.
전주시가 이러한 허술한 행정을 펼치며 완주 전주 통합을 이뤄 내려는 건지, 나아가 전 세계인이 지켜보는 올림픽을 유치 한다는 건지, 전반적인 행정추진에 대해 자성하며 뒤돌아 보야 할 시점이다.
뉴스통신사 국제뉴스/ kw-j3346@hanmail.net
관련기사
조광엽 기자
kw-j334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