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더불어민주당 제주, 행정체제개편 관련 여론조사 결과 발표
제주시 “시기상조”, 서귀포시 “필요해”…3개 시 구상에 엇갈린 민심
구체적인 방안은 여전히 입장차 뚜렷…여론 설득이 우선 과제로 떠올라
![제주도의 최대 쟁점 중 하나인 행정체제 개편, 특히 3개 시(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로의 행정구역 조정안에 대해 도민 여론이 '반대 우세' 또는 '판단 유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국제뉴스 제주본부 DB]](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08/3343999_3466612_5748.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도의 최대 쟁점 중 하나인 행정체제 개편, 특히 3개 시(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로의 행정구역 조정안에 대해 도민 여론이 '반대 우세' 또는 '판단 유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이 ㈜티브릿지에 의뢰해 지난 5월 30일부터 31일까지 도내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3,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당 행정구역 조정안에 대해 찬성은 35.9%, 반대는 43.1%, 모름은 21%로 집계됐다.
즉, 전체 응답자의 64.1%가 반대하거나 판단을 유보한 셈이다.
반면, 제주도 전역을 하나의 기초지자체로 두고 새로운 지방정부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찬성 60%, 반대 19.4%, 모름 20.6%로 나타나 행정체제 개편 자체에 대한 원론적 공감은 있으나,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선 입장 차가 뚜렷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제주시 갑은 △찬성 34%, △반대 45.3%, △모름 20.6% 제주시 을은 △찬성 31.9%, △반대 47.7%, △모름 20.3% 서귀포시는 △찬성 43.3%, △반대 34.2%, △모름 22.4%
제주시 지역에서는 ‘반대’가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제주시 을 선거구에서는 반대가 찬성보다 15.8%포인트 더 높게 나타나 지역 여론이 부정적임을 보여줬다.
반면 서귀포시는 찬성 의견이 반대를 앞서며 상반된 입장을 드러냈다.
또한 ‘모름’ 응답이 전체적으로 20%를 상회하며, 도민들이 행정구역 개편에 대해 충분한 정보나 설명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은 이번 자료와 관련 "이번 조사는 대선 기간 중 정책 수요 조사를 목적으로 비공개로 진행된 것이나, 대선이 종료된 점과 더불어 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공론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도민 의견을 공유하는 취지에서 공개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행정체제 개편 논의는 제주도의 자체 추진과 함께 정치권, 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의견 충돌과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향후 도의회 논의와 주민 의견 수렴 절차에서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오영훈 도정, 2026년 7월 민선 9기 출범 시범 목표… 3개 기초자치단체 신설 추진
오영훈 도정이 추진하고 있는 행정체제개편안은 2026년 7월 민선 9기 출범 시점을 목표로, 기존 ‘행정시’ 체제를 폐지하고 3개 기초자치단체 신설(동제주시, 서제주시, 서귀포시) 모델을 추진 중에 있다. 시장과 시의원을 직선으로 뽑는 자치제 복원이 골자다.
이와 관련 제주도는 8월 행정안전부에 주민투표 실시를 요청한 상태이나, 투표 시점과 준비 절차(법 개정 포함)가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아 일정이 촉박한 상황이다.
현재 제주도정은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등 3개 기초자치단체 신설을 골자로 한 행정체제 개편을 추진 중이지만, 도민사회 내부와 정치권에서는 행정구역 분할 방식(2개 vs 3개), 재정 부담, 부작용 우려 등을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행안부와 중앙정부 또한 주민투표와 지역 사회의 자기결정권은 존중하되. 논란이 많은 행정구역 쟁점 해소와 충분한 의견수렴을 선결 조건으로 제시했다.
#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 제주 '행정구역' 논란 의회차원 긴급 여론조사 진행"
![제주도의회이상봉 의장은 지난 5일 오후 열린 제44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통해 기초자치단체 행정구역과 관련 "도민들의 뜻과 그 타당성을 직접 묻는 절차를, 의회가 주체가 돼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사진=제주도의회]](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08/3343999_3466616_49.jpg)
이처럼 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주민투표가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의회이상봉 의장은 지난 5일 오후 열린 제44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통해 기초자치단체 행정구역과 관련 "도민들의 뜻과 그 타당성을 직접 묻는 절차를, 의회가 주체가 돼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의장은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이라는 여정은 새 정부 출범 이후 행정안전부 장관의 긍정적인 답변에도 불구하고 행정구역에 대한 의견 차이로 좌초 위기에 놓였다"며 "도민의 의견을 수렴해야 할 도의회로서, 이 상황에 대한 책임을 결코 가볍게 느끼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의장은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모든 일에는 ‘시간’이 중요하다"며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이 모든 과정은, 8월 내에 마무리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의 성사 여부는 2025년 하반기로 예정된 도민 여론조사와 공론화 과정을 거쳐, 주민투표 실시와 법 개정으로 이어지는 절차에 달려 있다.
특히 도민 의견 수렴과 행정구역 조정에 대한 합의 도출이 선결 과제로 부상한 가운데, 최종 결론은 주민투표와 국회 입법 과정이라는 정치적·제도적 관문을 통과해야만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2417@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