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자립과 사회통합 위한 지역 중심 허브로 기능 확대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국민의힘 김미애 국회의원(부산 해운대을)은 지난 30일, 장애인과 노인 등 보조기기 이용자에게 보다 체계적인 정보 제공과 교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역보조기기센터'의 역할을 확대하는 내용의 '장애인·노인 등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및 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부산 해운대을)

현재 각 시·도에는 장애인 보조기기 대여와 수리 등을 수행하는 지역보조기기센터가 설치·운영되고 있지만, 부품 제공 중심의 단순 서비스에 머물러, 복지정보 접근이나 이용자 간 네트워크 구축 등의 기능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지속돼 왔다.

이번 개정안에는 △보조기기 사용자 간 교류·협력 프로그램 운영 △장애인 등에 대한 복지서비스 정보 제공을 지역보조기기센터의 업무로 명시하고, 이를 통해 센터가 정보·상담·소통 기능을 갖춘 '장애인 원스톱 지원센터'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장애인 보조기기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자립과 통합의 수단'으로 바라보고, 보조기기 사용자의 실질적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 밀착형 정책 기반을 마련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김미애 의원은 "보조기기센터를 방문하는 많은 분들이 단순히 수리 서비스에 만족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정보와 사람을 만날 수 있는 통로를 원하고 있다"며 "이번 개정안이 장애인과 노인 등 보조기기 이용자의 사회 참여를 확장하고, 지역 내 복지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