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순천만에서 큰고니 2마리가 첫 도래한 후 4일 4마리, 7일 8마리, 총 14마리가 새섬매자기 복원터에서 먹이활동을 시작

ⓒ사진제공=순천시청
ⓒ사진제공=순천시청

(순천=국제뉴스) 명경택 기자 = 천연기념물 201호 큰고니가 지난 2일부터 순천시 순천만 갯벌 새섬매자기 복원터에서 첫 먹이활동을 시작했다.

큰고니는 오리과 고니속에 속하며 천연기념물 201호,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국제적 보호종이다. 몸길이는 140 ~ 165㎝, 몸무게는 8 ~ 20㎏으로 순천만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 중 가장 큰 대형종이다. 주로 갯벌에서 사초과 새섬매자기 알뿌리나 하천 주변의 수초 뿌리를 먹으며 월동한다.

2012년 큰고니 170여 마리가 순천만에서 월동하였으나,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군락이 쇠퇴하면서 개체수가 차츰 줄어 2022년에는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시는 올해 국가유산청 국비 지원을 받아 순천만 갯벌 10,000㎡에 새섬매자기 10만주를 식재하고, 농경지 25,000㎡에 연 3,300뿌리를 심어 안정적인 먹이원 조성으로 다시금 순천만이 큰고니의 단골 도래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히, 갯벌 새섬매자기 식재는 순천만 어촌계 주민들이 뻘배를 타고 직접 복원에 참여하여 주민 손으로 순천만 갯벌 새섬매자기 군락지를 복원해 낸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그 결과 지난 2일 순천만에서 큰고니 2마리가 첫 도래한 후 4일 4마리, 7일 8마리, 총 14마리가 새섬매자기 복원터에서 먹이활동을 시작했다.

한편, 지난 7일 흑두루미 7,600여마리, 노랑부리저어새 70여마리, 가창오리 10,000여 마리가 순천만에서 월동하고 있어 탐조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