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2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해양수산국 행정사무감사
"신규 광역폐기물 소각시설 조성 인근 마을 주민 반발로 지연"

11일 제42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농수축경제위원회는 해양수산국·해양수산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강성의 의원(더불어민주당, 화북동) "신규 광역폐기물 소각시설 조성사업이 인근 마을 주민들의 반발로 지연되고 있다”고 있다고 지적했다.[사진=제주도의회]
11일 제42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농수축경제위원회는 해양수산국·해양수산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강성의 의원(더불어민주당, 화북동) "신규 광역폐기물 소각시설 조성사업이 인근 마을 주민들의 반발로 지연되고 있다”고 있다고 지적했다.[사진=제주도의회]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대통령 공약이자 제도지사 공약인 해양쓰레기 종합처리장 조성사업의 지지부진함이 도마위에 올랐다.

11일 제42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농수축경제위원회는 해양수산국·해양수산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강성의 의원(더불어민주당, 화북동) "신규 광역폐기물 소각시설 조성사업이 인근 마을 주민들의 반발로 지연되고 있다”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특히 해양폐기물을 세척건조 후 성상별, 선별 분류해 광역폐기물 소각장에서 소각 처리하는 것이 실현가능성이 적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염분, 소라껍데기 등이 함유된 해양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신규 광역폐기물 소각시설 조성사업과 별개로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강 의원은“2020년 12월 4일부터 해양폐기물관리법이 제정되어 환경친화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를 위해서는 해양환경과 신설과 함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해양폐기물 수거 및 처리를 위한 해양수산국이 적극적인 행정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편 신규 광역 폐기물소각시설은 하루 처리용량 380톤 규모의 소각시설을 안덕면 상창리 일대에 설치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 시설을 통해 제주도내 생활폐기물과 도내에서 처리가 어려운 하수슬러지 및 해양폐기물 등의 처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제주도가 내놓은 각종 편익시설 지원이 상천리에만 국한되면서 인근 마을인 광평리 마을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다. 신규 소각시설 입지는 행정구역상 상천리지만 거리상으로 광평마을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