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위 '국민통합과 미디어특별위원회' 출범식…"사회 통합과 건강한 민주주의 위해" 

▲김한길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은 1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과 미디어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김한길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은 1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민통합과 미디어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김한길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장은 "우리 사회의 통합과 건강한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책임있는 미디어 환경 조성"을 강조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1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1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민통합과 미디어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국민통합을 위해서 미디어가 역할을 해 준다면 그야말로 큰 힘이 될텐데 오히려 국민들간의 분열과 갈등을 미디어가 부추기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이같은 우려에 대해 "어떻게 하면 미디어가 그 책임성 있게 뉴스를 생산할 것인지 미디어가 국민통합을 위해서 어떤 순기능을 발휘해 줄수 있을 것인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국민통합과 미디어 특위를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앞으로 국민통합과 미디어 특위가 우리 사회 통합과 건강한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책임있는 미디어 환경 조성을 위해서 실용적인 해법을 모색해달라"고 당부했다.

최명길 국민통합과 미디어 특별위원장은 "현재 미디어 환경은 확인되지 않은 정보 그리고 허위정보가 국민에게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뉴스 전달체계를 통해서 확산되고 있어서 뉴스의 유통환경이 뉴스 자체의 질을 떨어트리고 사회갈등을 심화해서 국민통합의 저변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가공하고 매개하는 것을 통해서 사업하는 누구라도 영향력에 상응하는 기여를 해야 한다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우리 미디어 특위가 그에 상응하는 기여라고 하는 개념의 다양한 대안을 찾아서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고 말했다.

'국민통합과 미디어 특별위원회'는 언론학계의 권위자인 서울대학교 양승목 명예교수,  언론계 출신으로는 김창기 한국정치평론학회 이사장, 법조계에서는 홍세욱 국민권익위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1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국민통합과 미디어특별위원회 출범식'이 개최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1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국민통합과 미디어특별위원회 출범식'이 개최되고 있다./사진=이용우 기자

특위는 △뉴스 유통의 지배적 위치를 점한 뉴스포털(인터넷뉴스서비스 사업자)의  사회적 책임 △법적으로 언론 분류 밖에 있는 신생미디어의 책임성 문제 등을 특위의 선결 과제로 선정했고 미디어 환경 개선을 위한 여타 의제도 순차적으로 다뤄나갈 예정이다.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들이 뉴스 유통을 주도하고 있는 현실, 특히 대형 뉴스포털 중심의 뉴스 유통 환경은 무한 트래픽 경쟁을 유발해 허위·미확인정보 등이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산돼 저널리즘의 환경을 악화시키고 우리 사회의 민주적 의사결정 장애와 구성원의 인권침해 등 유·무형의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고 보고 대책을 모색한다.

우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되는 뉴스 형태의 허위조작정보로 발생하는 인권침해, 재산손실 등에 대한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피해구제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특위는 뉴스포털과 언론매체의 건강한 관계 정립이 미디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선결해야 할 중요 과제로 보고, 뉴스포털의 기사배열, 광고배분, 제휴심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알고리즘은 더욱 투명해지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신생 미디어와 관련해서는 뉴스 전송 수단별 분류가 무의미할 정도의 변화가 진행 중인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유튜버 등 1인 미디어, SNS뉴스, OTT저널리즘에 대한 대책도 모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