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한국교회정체성 회복 교회수호연대 공동 기자회견
제주4.3특별법 개정안' 추진 강행, 표현의 자유 억압…개정 중단 촉구
![23일 오후 2시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당사앞에서 한국교회정체성 회복 교회수호연대(대표 류승남)과 제주도민연대(대표 이향)은 기자회견을 열고,제주4.3 폭동은 김일성과 남로당 주도로 같은해 5월10일 남한의 단독선 선거 반대를 위한 일어난 사건이라고 주장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303/2681291_2701385_2151.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일부 정당들이 '4·3사건은 공산폭동'이라는 현수막을 게시해 비판이 잇따르고 가운데 제주도민연대가 이에 대해 반박하고 나섰다.
23일 오후 2시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당사앞에서 한국교회정체성 회복 교회수호연대(대표 류승남)과 제주도민연대(대표 이향)은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4.3 폭동은 김일성과 남로당 주도로 같은해 5월10일 남한의 단독선 선거 반대를 위한 일어난 사건임이 명명백백히 밝혀지고 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남노당제주도당이 1948년 4월 3일 대한민국 건국을 저지하려고 무장 폭동 반란을 일으켜 1957년 4월 2일까지 만9년간 대한민국에 항적하며 5.10총선 선거관리위원 등 양민 1756명을 살해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김대중 대통령이 1998년 11월 23일 미국 CNN방송의 문답 아시아 프로그램에 출연해 '제주4.3은 공산당의 폭동으로 일어났다"고 전 세계에 천명했다고 말했다.
또 이들 단체는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11월 17일 국무회의에서 제주도지구 계엄선를 의결하면서 제주 4.3사건의 성격을 제주도 반란'이라고 규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 단체는 "왜 이런 내용을 말하면 처벌한다는 4.3특별법을 개정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따져물었다.
이들 단체는 "누구의 관점에서 명예훼손으로 처벌할 것"이냐며 "4.3특별법 재개정 중단을 촉구했다.
제주도 3명의 소속 국회의원들이 추진하고 있는 '제주4.3특별법 개정안'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악법 중의 악법'이라며 개정중단을 촉구했다.
# '4·3은 김일성의 공산폭동' 현수막에 도민사회 분노…"4.3왜곡 당장 철거해야"
한편 75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을 앞두고 '4·3은 김일성의 공산폭동'이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등장해 지역사회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23일 오후 2시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당사앞에서 한국교회정체성 회복 교회수호연대(대표 류승남)과 제주도민연대(대표 이향)은 기자회견을 열고,제주4.3 폭동은 김일성과 남로당 주도로 같은해 5월10일 남한의 단독선 선거 반대를 위한 일어난 사건이라고 주장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303/2681291_2701387_2242.jpg)
"제주4·3 사건은 대한민국 건국을 반대하여 김일성과 남로당이 일으킨 공산폭동이다"라고 쓰여진 현수막이 지난 21일부터 제주 도내 곳곳 60여곳에 게첨됐다.
현수막이 게첨되자 제주4.3단체는 물론 도민사회에서 "4·3을 왜곡하는 현수막 철거"해달라는 목소리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날 오전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제주4.3희생자유족회를 비롯한 제주4.3평화재단, 제주4.3연구소, 제주민예총,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 등 도내 4.3관련 단체들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4.3의 진실을 왜곡하는 행위를 당장 멈추라"고 촉구했다.
또 오영훈 제주도지사와 김경학 제주도의회 의장, 김광수 제주도교육감도 "4.3을 다시 통한의 과거로 끌어내리는 '역사 왜곡 현수막'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공동입장문을 통해 "4.3의 역사와 가치를 세계와 공유하는 제75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을 앞둔 시기에 4.3이 맹목적인 이념 사냥의 표적이 되고 있어 매우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지역사회의 반목과 갈등을 일으키고, 역사를 왜곡하는 현수막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오영훈 제주지사 또한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최근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4·3 망언에 이어 일부 보수 정당까지 4·3을 폄훼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현수막을 도내 곳곳에 설치해 충격을 주고 있다"고 질타했다.
오 지사는 "4·3 명예훼손과 역사 왜곡 방지를 위해 국회는 4·3 진상조사 결과와 희생자, 유족, 관련 단체를 모욕·비방하거나 허위 사실을 유포하는 경우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주4·3특별법 개정안을 신속하게 처리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제주녹색당 또한 "혐오표현 방지 조례를 제정하고, 제주특별법을 개정해 4·3 진실을 왜곡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 조항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가 2003년 펴낸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는 4.3에 대해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3일에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2417@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