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제주청년미래를 말하다 미래먹거리 6차산업' 토론회
김경보 위원장, "제주 청년정책 현실적으로 도움 안돼" 지적
장예찬 이사장, "제주 신산업 필요, 윤 정부도 청년 영농인 관심"

지난 12일 제주시 호은아트센터에서 제주청년문화포럼과 재단법인 청년재단이 공동 주최한 '청년이 만들어가는 Young한 연구' '제주청년미래를 말하다 미래먹거리 6차산업'에 대한 토론회가 성황리 개최됐다.[사진=문서현 기자]
지난 12일 제주시 호은아트센터에서 제주청년문화포럼과 재단법인 청년재단이 공동 주최한 '청년이 만들어가는 Young한 연구' '제주청년미래를 말하다 미래먹거리 6차산업'에 대한 토론회가 성황리 개최됐다.[사진=문서현 기자]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 청년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일자리 창출과 미래먹거리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지난 12일 제주시 호은아트센터에서 제주청년문화포럼과 재단법인 청년재단이 공동 주최한 '청년이 만들어가는 Young한 연구' '제주청년미래를 말하다 미래먹거리 6차산업'에 대한 토론회가 성황리 개최됐다.

이날 청년들의 토론회는 △김경보 제주청년문화포럼 위원장(국민의힘 제주도당 청년위원회 위원장) △장예찬 재단법인 청년재단 이사장(국민의힘 청년 최고위원 후보) △하곤철 경영학박사(파다스가든 회장) △강경문 도의원 △장성민 힘썬농장 이사장, △홍지한 전 영농후계자 등이 참여했다.

이날 제주 청년들은 제주청년들의 일자리 창출과 미래 먹거리 산업인 6차산업에 대한 전망과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는 열띤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이날 토론회에는 김황국 제주도의회 부의장, 강충룡, 강하영, 이남근 제주도의회 위원, 이창현 국민의힘 서울시당 청년위원장, 박홍준 국민의힘 충북도당 청년위원장, 최주호 국민의힘 부산시당 전 청년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경보 제주청년문화포럼 위원장은 “제주의 청년들이 제주에서 일하고 싶어도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제주도를 떠나야하는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다”며 제주청년 일자리의 현주소를 지적했다.

지난 12일 제주시 호은아트센터에서 제주청년문화포럼과 재단법인 청년재단이 공동 주최한 '청년이 만들어가는 Young한 연구' '제주청년미래를 말하다 미래먹거리 6차산업'에 대한 토론회가 성황리 개최됐다.[사진=문서현 기자]
지난 12일 제주시 호은아트센터에서 제주청년문화포럼과 재단법인 청년재단이 공동 주최한 '청년이 만들어가는 Young한 연구' '제주청년미래를 말하다 미래먹거리 6차산업'에 대한 토론회가 성황리 개최됐다.[사진=문서현 기자]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스마트팜 지원정책을 예를 들며 "실제 농업회사를 설립하려면 몇 십 억원이 필요하다"며 "이는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제주도에서는 청년들의 고용창출과 창업 및 청년농업 종사자 육성 등을 위해 좀 더 세밀하고 제대로 된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홍지안 전 영농후계자는 “한 달 전까지만 해도 젖소목장을 운영하면서 요구르트도 만들고 유통도 했으나 지금은 그만뒀다"며 "목장을 운영하면서 가장 큰 문제는 인력문제인데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부분이고 제주청년들 중에서도 일을 해보려고 시작해보지만 몇 달을 못 버티고 그만두는 실정"임을 토로했다.

홍 전 영농후계자 역시 정책자금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홍 전 영농후계자는 "실제 정책자금이나 대출을 받으려고 해도 결국 부모의 자산기준으로 가능하다 청년이 자립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어렵다"며 "이는 결국 청년농업창업이나 청년 영농후계자들에게는 메리트가 없기 때문에 그만둘수 밖에 없다”고 제주에서의 청년 농부로 일하는데 애로사항을 풀어냈다.

장성민 힘썬농장 이사장은 “제주도는 청년들의 일자리(고용, 창업 등)와 관련해서 분명 발전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 또한 무분별한 지원을 받기보다는 어떤 정책들이 있고, 여러 지원사업을 잘 찾아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곤철 경영학 박사는 “제주청년들의 교육수준과 실력은 높아져가고 있는데 반해 뜬구름 잡는 정책이 많다"며 "제주의 청년인재들에게 걸맞는 수준의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강경문 제주도의회 의원은 "제주가 갖고 있는 풍부한 자원들을 이용해 6차 산업을 활용한다면 제주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제주도의회에서는 청년정책으로 고용창출을 위해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며 "정책수립을 위해서는 제주청년들의 관심 또한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제주청년들의 공감대가 형성 돼 많은 의견을 모아줘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에서 공약으로 제주도에 관광청, 제2공항 건설 및 제주공항공사 설립 등으로 제주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해 본다" 덧붙였다

장예찬 청년재단 이사장은 "제주도에서는 신산업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는 청년들이 접근하기 어렵지 않은 분야, 제주도와 미디어사업이 잘 어울릴 것 같다."며 "윤석열 정부에서는 청년농부에 대해서도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청년 영농인들을 위한 많은 분야를 준비하고 있으니 제주의 청년들도 많은 관심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제주청년문화포럼과 재단법인 청년재단은 앞으로도 각계각층의 청년들의 의견을 공유하고 제주의 청년들이 제주를 떠나지 않아도 꿈을 이룰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