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제주도청 앞서 동부처리하수처리장 증설 철회 촉구 기자회견
"문제 해결 위한 당선인들의 계획을 도민에게 알려 달라"
![월정리 마을회, 동부하수처리장증설반대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 용천동굴하류유네스코등재운동 전국서명위원회는 7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과 김한규 제주시을 국회의원에게 용천동굴하류 보존대책을 세우고 세계자연유산을 훼손하는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철회에 대한 앞으로의 계획을 밝혀줄 것으로 촉구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206/2482881_2480371_033.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세계자연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당처물동굴과 용천물 동굴을 보호하기 위해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반대를 외치고 있는 월정리 마을회와 동부하수처리장증설반대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지 않은 용천동굴 하류구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작업이 시급함을 다시 한번 알렸다.
현재 월정리 마을주민들은 용천동굴보호와 마을 환경권, 생존권 보호를 위한 행동으로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시도를 감시하기 위해 150여일간 매일 보초를 서고 있다.
이에 월정리 마을회, 동부하수처리장증설반대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 용천동굴하류유네스코등재운동 전국서명위원회는 7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과 김한규 제주시을 국회의원에게 용천동굴하류 보존대책을 세우고 세계자연유산을 훼손하는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철회에 대한 앞으로의 계획을 밝혀줄 것으로 촉구했다.
오영훈 당선인과 김한규 당선인은 지난 지방선거 당시 동부하수처리장 문제와 용천동굴하류 세계자연유산 등재와 관련한 공개질의서를 통해 유네스코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한 최선을 노력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동부하수처리장 문제를 문화재보호차원에서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국회의원시절부터 세계자연유산의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김한규 제주시을 국회의원 당선인 또한 새로운 도지사와 국회의원, 주민과의 협의를 통해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이들 단체는 "오영훈 김한규 당선인에 공식적인 면담을 요청한다"며 "당선인들이 밝힌 바대로 용천동굴하류 보호대책차원에서 문화재보호구역을 훼손하는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철회해 달라"고 요청했다.
![월정리 마을회와 동부하수처리장증설반대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지 않은 용천동굴 하류구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작업이 시급함을 다시 한번 알렸다. [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206/2482881_2480372_119.jpg)
그러면서 용천동굴 하류구간을 세계자연유산 목록에 포함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 예정"이냐며 "동굴발굴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월정리 하류지역(동부하수처리장 주변)에 신규 동굴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 진단 등이 언론보도를 통해 이미 나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는 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동굴 발귤 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라며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혀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제주도 자체 동굴 조사 시 도정을 믿기 힘들다"며 "월정리 마을회가 추천하는 전문가 혹은 주민등을 조사인력에 포함시켜 줄 것도 제안했다.
이들 단체가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은 세계자연유산을 훼손하는 것임을 주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문화재보호법 제36조항에 의거해 역사문화환경을 훼손하는 공사는 허가사항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데 동부하수처리장은 역사환경에 포함이 되어 있고 지하시설을 위한 터파기공사가 약 10m에 이르기 때문에 증설공사 허가는 취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 동부하수처리장은 용천동굴국가지정문화재로부터 이격거리가 115m로 제주도가 문화재청 현상 변경허가신청 대상문화재를 처리장과 가까운 용천동굴을 기재해야 하는데 증설을 위해 거리가 더 먼 당처물동굴로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무효하고 주장한다.
3. 당처물동굴 허가를 받은 문화재환경영향평가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서면으로 대신했기에 제대로 된 심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용천동굴 역사문화환경에 단독주택 허가신청을 했는데, 문화재청은 심의를 통해 심사위원 10명이 만장일치로 불허했는데 동부하수처리장은 땅을 무려 10m를 파헤지는 대형공사임에도 허가됐다고 주장한다.
4.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완충구역에 포함되는 부지에 증설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에 보고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이 누락됐다고 주장한다. 이에 제주세계자연유산본부는 마땅히 이를 보고해야 하는데 보고를 하지 않았다는 것.
5. 용천동굴의 폭은 동부하수처리장 부근인 하류구간에 넓어지는데 문화재청에는 이 사실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 국가지정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문화재보고구역 구간설정은 사실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 단체는 이 같은 이유로 증설공사는 절대 강행되어서는 안된다며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공사를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월정리 마을회와 동부하수처리장증설반대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지 않은 용천동굴 하류구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작업이 시급함을 다시 한번 알렸다. [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206/2482881_2480375_424.jpg)
이날 이들 단체는 "제주도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을 다수 보유하고 있고,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 제주의 세계자연유산 곳곳 지역은 현재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다"며 "제주도정의 관리감독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과 김한규 제주시을 국회의원 당선인은 계획을 도민에게 알려주고, 월정리 주민들이 생활환경권이 침해되고 있는 비인도적인 상황을 하루속히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hanmail.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