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참여환경연대 논평 "민간 건설업자에 이익 극대화 추구 형태 단면" 지적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4일 논평을 내고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가 도시공원 민간 특례 사업을 비공개로 할 것을 지시했다며 이는 민간특례사업 투기의 과실을 나누기로 공모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사진= 국제뉴스 제주본부 DB]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4일 논평을 내고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가 도시공원 민간 특례 사업을 비공개로 할 것을 지시했다며 이는 민간특례사업 투기의 과실을 나누기로 공모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사진= 국제뉴스 제주본부 DB]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가 도시공원 민간 특례 사업을 비공개로 할 것을 지시한 서류가 뒤늦게 확인됐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4일 논평을 내고 "지난 23일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에서 다뤘던 내용을 재조명하면서 원희룡 전 지사를 향한 투기 의문을 제기했다.

지난 23일  MBC 방송에서  원희룡 전 지사가 오등봉 및 중부공원 민간특례사업을 '비공개'로 추진하라는 것을 지시했다는 내용과 함께 자신이 지시한 내용은 철저하게 비공개로 할 것을 주문하는 내용도 보도됐다.

이에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이는 공원조성을 핑게로 한 민간건설업자들의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형태의 단면을 보여 준 것"이라고 거세게 지적했다.

오등동 공원 민간특례사업과 관련 제주시는  2016년 9월 오등동 사업 부적합 결론을 내렸다. 그런데 불과 몇달만인 2017년 7월 추진하겠다며 돌연 입장을 바꿨다.

이를 두고 제주시는 원희룡 전 제주지사에게 추진계획이 보고되고, 원 전 지사가 이를 비공개로 추진하라고 지시했다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제주참여환경연대는 당시 원희룡 전 지사에 보고된 계획의 구체성을 볼때 원 지사가 보고를 받은 후 추진 지시를 내렸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주장을 피력한다이들은 원희룡 전 지사도 이보다 훨씬 이전 시점에 도시공원의 민간특레 검토를 지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

도시공원 민간특례사업 추진계획 지사님 보고결과에 따르면 비공개 검토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도시공원 민간특례사업 추진계획 지사님 보고결과에 따르면 비공개 검토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들이 이같은 추정을 하는 이유는 제주시가 원 전지사의 지시로 2017년 9월 민간특례사업 추진을 지시했다지만, 사업 지시 뒤 며칠만에 일부 공무원의 토지 투기 의혹이 제기됐고 부동산 가격이 크게 상승했음을 봤을때  이 같은 느닷없는 입장 변화는 원 전지사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이들 단체는 "본인을 대장동 1타 강사로 자칭하며 성남시의 도시개발사업의 부당이익을 지적하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불투명하게 도시공원 민간특례를 비공개로 추진해 민간특례 사업자에게 부당한 이익이 극대화되어 돌아가도록 설계했다는 정황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비공개 문건과 더불어 홍명환 도의원이 공개한 협약서를 보면, 비공개로 추진한 정황과 더불어서 어떤 구조로 이익 극대화를 도모했는지 실체가 드러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들 단체는 민간특례사업 투기의 과실을 나누기로 공모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우선 이들 단체는 원 전 지사의 최초 추진 지시가 있은 후 불과 3일 후 제주도 고위 공무원이 중부공원 땅을 모친 차명으로 구입한 점, 또 다른 공무원들도 해당 토지를 공동매입 한 점 등은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고 전제했다.

하지만 고위공무원이 ‘프랜즈원(원희룡 전지사 팬클럽)’ 행사에 참여했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투기의 과실을 나누기로 공모했을 가능성이 배제 할 수 없다는 것.

이들 단체는 "제주도정이 민간특례사업 추진 대상지역이 밝혀지면 토지 가격상승, 그에 따른 많은 보상비로 사업 추진을 비공개로 한 것이라고 해명할 수 있지만,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공론화를 추진했다면 투기 우려를 불식시킬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이 같은 정황들을 봤을 때  도시공원 민간특례를 이용해 특정 집단이 투기를 독식하며 자금을 마련하려 했던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짙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재차 의구심을 던졌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hanmail.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