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국제뉴스) 허일현 기자 = 서울시와 고양시가 오랜 갈등을 빚고 있는 기피시설문제 해결에 새로운 물꼬를 만들지 주목되고 있다.
28일 김필례 국민의힘 고양시을 당협위원장에 따르면 이 문제해결을 위해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현안질의서를 전달하고 기피시설 문제를 해결키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건의했다고 주장했다.
고양시에 소재한 대표적인 서울시 소유 기피시설은 ▶서울시 난지물 재생센터▶서대문구 음식물류 재활용시설▶서울시립화장장 등이 있다.
이외에도 ▶은평광역자원순환센터▶'수색차량사업소 및 차량기지 이전'과'은평 공영차고지' 관련해서도 문제로 불거져 양측이 갈등을 빚고 있다.
실제 이전에도 기피시설인근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불편과 불만이 표출돼 왔으나 고양시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문제제기를 한 것은 2010년 7월 최성 전 고양시장이 취임하면서부터다.
처음에는 대립으로 각을 세웠으나 2011년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로 박원순 전 시장이 취임하고 기피시설문제에 공감하면서 2012년 5월 양측이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작성해 해결의 실마리가 풀린듯했다.
그러나 일부 눈에 보이는 이해관계에서만 다소 진전이 있었을 뿐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으면서 결국 ‘말뿐인 협약’으로 그쳤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어 이재준 현 시장 취임이후인 2018년 8월 고양시-서울시간 상생협약을 체결해 서울시로부터 난점마을 연결도로 개설공사비 등 지원을 받기도 했지만 역시 근본해결과는 거리가 있어 시민불편해소는 요원한 상태로 남아있다.
이런 가운데 지역사회에서는 그나마 이런 협의나 협약도 서울시와 고양시장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어서 겨우 이어갔지만 지난 4·7보궐선거이후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이 취임하면서는 또다시 갈등으로 돌아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지적했다.
사정이 이러자 김필례 위원장이 문제해결의 고삐를 늦추지 않기 위해 같은 당 시장이라는 이유를 삼아 선제적으로 면담을 요청했다.
더구나 서울시 난지물 재생센터나 서대문구 음식물류 재활용시설이 소재한 곳이 김 위원장의 지역구여서 지난 27일 오 시장을 면담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위원장은 “고양시는 행정구역이 다르면서도 서울의 발전에 끊임없이 희생을 강요당해 왔다”며“서울시는 고양시를 서울과 같은 방식으로 배려하고 일류도시로 성장하는 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이번에 전달한 현안질의서와 정책 건의를 통해 당면한 문제로 지속적인 희생을 강요받은 고양시민에 대한 즉각적이고 전향적인 서울시의 정책 전환을 건의했다”며“은평광역자원순환센터,'수색차량사업소 및 차량기지 이전','은평공영차고지' 문제 등에 시에 진정한 이익이 되는 방향을 고민하고 시민과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오 시장으로부터 고양시는 서울시의 주요 경계도시로 서울시민의 주요도시기능을 분담하고 있다”며“김필례 위원장과도 상생과 협력의 대책을 찾아보겠다는 답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은 “갈등을 해소하려는 취지로 합의했던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과 '상생발전 정책협약'같은 말뿐인 합의는 안 된다”며“서울시에 한 질의는 이번이 시작으로 적극적인 행동으로 근본적인 해결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일현 기자
heo357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