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독재의 잔재 예술의전당을 넘어선 문화도시 부산의 진면목을 보일 기회다.

(서울=국제뉴스) 박준석 기자 = 오페라는 순우리말로 하면 음악극이다. 그러나 오페라하우스는 건물을 이르는 말이 아니고 음악극을 하기 위한 예술가들의 집단을 이르는 말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오페라하우스는 오페라를 하는 예술가들의 직장이다. 부산오페라하우스의 문제는 오페라하우스운영비의 문제다. 전임 시장은 몰랐고 현직은 알아서 망설이고 있다.

하지만 오페라하우스의 운영비용은 적자가 아니라 예술인들과 시민들에게 지불되는 사회적 비용으로 보아야한다는 의견들이 합당하다.

위기는 기회다. 서울의 예술의전당도 건물임대업을 하고 있는 지금, 부산이 대한민국최초의 오페라하우스가 될 수 있다면 이는 역사에 길이 남고 벼랑 끝에 몰려있는 예술가들에게 기다리고 있는 단비가 되어줄 것이다. 서울이 문화예술의 도시로 불리지 않는다. 기자는 부산에 기회가 있다고 본다.

부산오페라하우스. 예술단도 없이 누가 오페라를 할것인가?

오페라하우스는 토건족과 예술인 단체들을 위한 사업이 아니다.

시민들과 예술가들을 위한 사업이다. 오페라하우스를 짓자는데 어떤 예술가는 반대를 했고, 어떤 예술가들은 찬성했다. 반대하는 예술가들은 건물보다는 예술가들에게 실질적인 일이어야 한다는 경험에서 나온 합당한 주장이었고, 찬성하는 예술가들은 건물이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었을 것이다.

양측이 찬성과 반대는 하지만 결국 예술가들을 위한 예술가들의 오페라하우스를 짓자는 것이지 오페라하우스가 필요 없다고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문제는 비용을 바라보는 시각이다. 적자로 보이는 오페라하우스 운영비용은 물먹는 하마의 물인가? 예술가들과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사회적 비용인가?

결국 이 비용을 바라보는 시각이 부산이 어떤 도시인지를 설명하게 될 것이다. 문화도시를 꿈꾸는가? 그러면서도 예술가들에게 비용 지불하는 것은 전임시장이나 신임 시장 둘 다 반대하는 것인가? 오페라는 부산의 많은 음악인들의 고용을 창출하는 사업이다.

예술가를 고용하는 것은 일자리 창출이 아니라는 시각은 온당한 시각이 아니다. 공공일자리에 예술가들의 일자리는 당연히 포함되어야한다.

서울의 예술의전당과 국립오페라단의 실태. 부산은 반복하지 말아야한다.

대한민국의 문체부가 예술의전당의 실질적 주인이며, 문체부는 예술의전당에 전체운영비의 25%의 보조금을 준다. 그 액수가 100억 정도이니 G11국가가 대표극장에 내리는 보조금 액수로는 민망할 정도이다.

그러니 건물관리인들은 대관 장사하라는 정부의 그림대로 대관장사를 하고 있다. 그들의 고객은 관객이 아니라 예술가들이다. 관객이 고객인 것 같으나 사실은 예술가들이 예술의전당을 먹여 살리고 있다. 이 기막힌 아이러니는 군사독재자 정권의 무식의 소산이다.

국립오페라단이라는 단체는 처음에는 오페라 예술가들의 단체로 출발했지만 지금은 단원이 단 한명도 없다. 그들의 오페라 한편의 제작비가 보통 10억에서 15억 사이인데 합창단과 오케스트라가 없으니 용역을 준다.

우리의 젊은 예술가들은 합창단과 교향악단에 용역비 20%~40%? 정도를 단체에서 떼이고 공연 당 15만원 받다가 지금은 17만원 받는다. 준비기간이 최소 2달은 걸리는데 4번 공연하고 70만원 정도 받는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예술의전당이며 누구를 위한 오페라단인가? 부산시는 이런 짓을 반복할 것인가? 부산 오페라하우스에 대한 컬설팅에서 전문가 조언이 예술의전당이나 국립오페라단을 모델로 삼으면 안 된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기자도 100% 동감이다.

오페라는 사회적 사업이다. 많은 음악 및 무대공연 예술가들의 삶의 터전이다.

오페라는 노동집약형 공연예술이며, 오페라하우스는 예술노동자들의 일터이다. 그러나 부산의 오페라하우스는 공연장은 2천5백억에 지으면서 오페라를 만들 예산을 준비하지 않았다. 도대체 무엇을 하는 오페라하우스이며 누구를 위한 오페라하우스인가? 왜 이런 기본적인 물음에도 답을 못하는 2천5백억원의 건물을 지으려했는가?

단지 부산의 상징적인 건물을 짓고 싶었던 모양이다. 70년대 독재시대나 가능한 발상이 아직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놀랍다. 이렇듯 대한민국 최고극장인 예술의전당은 전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천5백억 들여서 오페라하우스를 짓고서는 예술가들에게 장사를 하려는 심산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전국의 모든 문예회관들이 2천5백만의 배후인구가 있는 예술의전당처럼 장사를 잘하기는 불가능하다.

소득주도 경제성장 정책의 일환으로 일자리 정책이 쏟아지고 있지만 예술계 일자리 정책은 들어본 적이 없다. 게다가 전국의 예술계일자리는 사실상 반고용상태다. 국가가 사람이 있는 문화를 말하면서 예술가를 고용하지 않는 것은 모순이다.

부산오페라하우스는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되 예술가의 고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예술가가 먼저고 그 다음이 오페라이며 그 다음이 오페라공연장이다. 부산이 먼저 그 모범을 만들어 준다면 아시아에 내놓을 만한 대한민국 제 1호 제작극장이 될 수 도 있다.

오페라하우스에 대한 새로운 제안. 야구장 겸용 오페라하우스는 어떨까?

부산은 관광도시화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크루즈들이 들어오기 시작하는데 홍콩이나, 러시아의 페테르부르크처럼, 크루즈가 출발하거나 하루이상 멈출만한 장점을 가진 도시이다. 그렇다면 이탈리아 베로나나 독일의 브레겐츠와 같은 시즌제 오페라를 할 수 있는 야외오페라와 야구장을 겸한 극장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실제로 페테르부르크의 마린스키극장은 발레와 오페라를 보려고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들고 있다. 기자가 갔던 날도 크루즈 관광객들로 만원이었고, 베로나의 오페라 페스티벌은 항상 표를 구하는 게 문제일 정도이다. 준비기간이 아닌 공연기간 1달만 다른구장에서 야구하는거 불가능할 것 같지는 않아보인다.

오페라 티켓으로 돈을 버는 나라는 세상에 없다. 하지만 문화예술의 도시는 많은 관광객들을 유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도 예술가들을 고용하여 운영하는 비용을 준비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기자만의 아이디어는 아니고 몇몇 지휘자들의 의견이다.

박성택 서초문화재단 대표는 부산오페라하우스 추진단 시절부터 운영비에 대한 부분을 지칠 만큼 해왔다고 한다. 그는 영화제를 빼고는 1년 내내 영화보다는 공연장으로 활용되고있는 영화의전당이 오페라하우스로 같이 쓸 수 있도록 리모델링하는 하는 방안을 그의 SNS에 제안했는데 흥미로운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더라도 오페라는 예술가가 하는 것이지 건물이 할 수는 없다.

오페라는 저렴한 티켓 값이 핵심이다. 최고의 품질의 공연을 저렴한 티켓으로 제공할 수 있는 주체는 정부 밖에 없다. 세계적인 극장들은 재정자립도가 20%이면서도 그 도시의 자랑이다.

정부가 돈보다 더 귀한 것을 시민들에게 줄 수 있는데 그것이 곧 예술이며, 예술을 향유하는 것이 문화이다. 부산은 문화예술의도시가 되고자 하는가? 결론은 건물이 아닌 예술가이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