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국제뉴스) 이승희 기자 = 국민의당 전북도당 대변인단은 17일 "전북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논평을 냈다. 다음은 전문이다.
[포항 지진으로 대한민국은 공포에 휩싸였다. 이번 지진은 여느 때와 다르게 전국에서 감지가 됐으며 지진 발생 이후 여진만 무려 50회가 넘게 발생했다.
정부의 발 빠른 재난문자발송과 특히 수능을 하루 앞둔 날에 발생한 사태에 대해 즉각 조치해 수능을 연기한 점은 이전 정부에서는 볼 수 없던 조치들이어서 반갑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가 지진 피해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진 발생 후에 긴급회의를 소집하며 온갖 방법을 강구하는 듯 하지만 막상 그 안을 들여다보면 내용이 없다.
우리나라의 내진설계 의무규정은 1988년에 도입 됐지만 30여년이 지난 지금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은 43.7%, 민간건축물 내진율은 7%에 불과하다.
특히 전북의 지진은 1978년 관측 이후 80건에 달하며 이 중 대부분이 2000년대 이후에 발생한 지진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상황 속 에서 전북도의 내년 재난안전 예산이 대폭 삭감됐다는 점이다.
지진은 날씨처럼 예측 가능한 것이 아니다. 더군다나 우리 전북은 지진이 드물고 약하게 발생했기 때문에 마치 지진과 관련 없는 지역이라는 인식이 존재했다.
이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며 지진을 대하는 우리의 올바른 자세는 언제라도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과 이에 따른 정확한 대비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도는 보여주기 식 행정과 말로만 안전을 외치기보다 사전예방이 최우선임을 인식해야 한다.
도는 이제라도 공공시설물을 비롯한 도민들의 삶의 주거시설인 민간 건축물의 소방문제와 내진설계 등 안전문제 관련한 전수조사를 치밀하게 실시해 재난 관련 빅데이터를 시급히 구축해야 할 것이며 재난의 위협에 노출된 도민들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쏟아 부어야 할 것이다.]
이승희 기자
asisur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