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악초등학교 옆 페러글라이딩장서 개통식 행사

(제주=국제뉴스) 고병수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는 4·3에 대한 역사 교육과 현장 체험을 활성화하기 위해 '금악마을 4·3길'을 오는 17일 개통한다고 12일 밝혔다.
개통식에는 제주도지사와 제주도교육감을 포함해 금악마을주민, 4·3유족 및 관련단체, 관광객 등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개통식 행사는 금악초등학교 옆 페러글라이딩장에서 열리며 행사 후에 6.5km(2시간) 4·3길을 걷게 된다.
금악마을 4·3길은 올해 2월 공모를 통해 선정됐으며 현재까지 마을이장 등 관계자와 제주도가 여러 차례 회의와 현장답사를 거치며 웃동네 가는길과 동가름 가는길 2개 코스를 조성하게 됐다.
금악마을은 일제강점기 과다 공출과 1946년 콜레라로 살기가 어려워졌으며 1948년 4·3 소개령으로 인해 마을전체가 사라지기까지 했다.
지금의 금악마을은 한국전쟁이 끝나고 1953년부터 재건된 마을로 1960년대 아일랜드 출신 임피제(맥그린치)신부가 종돈 등을 들여오면서 제주 최대의 축산마을이 됐다.
1코스 마을 중심에 위치한 금오름은 금악마을을 제주 서북부의 지리적 요충지로 거듭나게 하고 일제강점기에는 수많은 진지동굴들도 만들어져 4·3 당시에는 피난처가 되기도 한 곳으로 이후 지금은 2개만 남기고 전부 메워졌다고 한다.
동서남북으로 자연경관이 다채롭고 정상까지 차량 진입이 가능하여 수많은 관광객은 물론 페러글라이딩 이륙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2코스에 위치한 만벵듸묘역은 1950년 한국전쟁(6.25) 예비검속 시 대정 섯알오름에서 4·3가족이란 이유 등으로 학살된 수십명의 희생자들을 1956년에 시신 수습해 조성한 묘역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5번째로 표선면 가시마을에 4.3길을 조성한다.
가시마을 4·3길은 지난 2월 공모에서 하반기 대상마을로 선정됐으며 10월경 개통을 예정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한편 4·3길은 2015년 10월 동광마을을 처음으로 2016년 의귀마을, 북촌마을 등 지금까지 3개 마을에 조성돼 4·3현장교육의 장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관계자는 "이번 4·3길을 조성하며 책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금악마을의 4·3에 대한 증언을 4·3생존자들에게 듣고 기록하게 되어 뜻깊은 사업이었다"며 "앞으로 마을과 협업하며 금악마을 4·3길을 적극 운영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고병수 기자
bsko74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