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국제뉴스) 송영숙 기자 = 해양수산부는 어업현장에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 9일 부산 KTX역 회의실에서 '均' 생분해성 어구 품질관리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날 간담회에는 어구생산업체 대표와 연구기관(국립수산과학원), 수협중앙회 등 관계자가 참석하여 친환경 생분해성어구 개발 현황을 발표하고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어구를 사용하는 어업인들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현재 제작 중인 ‘생분해성 어구 보관 표준매뉴얼(안)’의 내용을 검토하고,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도 논의한다.
해양수산부는 썩지 않고 바다에 떠도는 나일론 어구에 물고기가 걸려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수중에서 2년이 지나면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 개발을 추진하여 2007년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
현재까지 22종의 어구를 개발하여 작년에는 8개 업종의 어선 460여 척에 보급하였으며, 올해는 꽃게자망어업 등 9개 업종 500여척의 어선에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07년부터 현재까지 총 487억원(국비 341, 지방비 146)을 투입해 기존 어구를 친환경 어구로 대체하는 어가에 차액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어업인들도 최근 연근해 자원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의 친환경 어구 보급사업에 적극 협력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최근 특히 어획량 감소폭이 컸던* 꽃게 자망어업에 대한 보급사업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친환경 생분해성 어구는 미생물(박테리아, 곰팡이 등)에 의해 자연 분해되는 소재로 만들어지므로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 등 미생물이 번식하기 어려운 곳에 보관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생분해성 어구 보급 확대에 대비하여 해양수산부는 ‘생분해성 그물 보관 매뉴얼’을 작성하여 올해 3월부터 어업인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생분해성 그물 보관 매뉴얼 주요 내용은 ▲ 분해 진행 속도를 고려해 가능하면 18개월 이내 사용 권장 ▲ 신제품 구입시 거치대 등에 걸어서, 통풍이 잘 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 한다.
이어 ▲ 사용 후 이물질을 제거한 후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에 보관할 것 ▲ 30℃ 이상에서 분해가 빨라지므로 보관시 상온 이하의 저온에 보관 등이다.
또한 작년에 수산업 선진국인 노르웨이에 1만8천 유로(약 2,500만 원) 상당의 국산 생분해성 어구를 최초 수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분해성 어구 수출 확대를 추진한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나일론 어구는 대부분 중국산이므로 국내에서 사용하는 어구들을 국산 생분해성 어구로 대체할 경우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신철 해수부 어업정책과장은 "현재 많이 사용되는 나일론 어구를 친환경 어구로 교체해나가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민?관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송영숙 기자
daybyday1@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