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국제뉴스) 김현수 기자 =민주당이 지난 대선 공약인 기초선거 정당공천제도 폐지 여부를 전 당원 투표로 결정키로 한 가운데 호남권 민주당 권리당원 표심에 따라 폐지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가에서는 전북지역 권리당원이 이번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투표에서 주도권을 행사할 것으로 보는 시각에 이의가 없으며 전북 정치권도 투표시기와 방법 등을 두고 향후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이는 민주당 기초선거 전당원 투표관리위원회가 현재 논의하고 있는 투표 방식이 전북의 권리당원의 의사반영이 투표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는 유리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지난 15일 광주에서 열린 '정당공천제 폐지' 공청회와 오는 22일 열리는 전북도 토론회를 지켜본 후 최근 급부상하는 안철수당(가칭)을 포함한 각 당의 역학구도와 입후보자들이 정치적 셈법에 따라 권리당원의 의사결정이 표출될 것으로 보인다.
공당공천제 폐지와 관련해 민주당은 지난 11일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전 당원 투표' 방식으로 결정을 번복했다. 지난 4일 당 기초자치선거 정당공천제 찬반검토위원회의 '기초선거 공천폐지' 결정을 번복한 것이다.
이를 두고 정가에서는 대선공약인데다 한번 폐지로 결정된 사항을 번복하는 것은 공당으로써 해서는 안 될 일이라는 지적과 함께 폐지안을 밀어붙이려던 지도부가 소속 의원들의 반발과 위헌논란 등에 휩싸이면서 '역풍'을 맞아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북 지역 국회의원들도 어느 때보다 조심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도내 의원들 중에 유성엽 의원과 김관영 의원만이 정당공천 폐지를 역설해 온 반면 전정희 의원들은 폐지 반대 입장을 고수해 왔는데 이 날 결정으로 논란의 불씨가 재점화 되면서 향후 변화를 주시하는 분위기다.
특히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확인된 민주당의 지지율 하락과 안철수 신당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감을 염두해 두고 내년 지방선거 함수계산에 들어간 입지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내년에 출마를 희망하고 있는 한 입지자는 "전북은 민주당 텃밭임을 무시할 수 없는데다 지역 국회의원이 공천을 쥐락펴락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정당공천제 존폐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면서 "진정한 지방자치를 위해 정당공천제는 폐지되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당에서 결론이 난 만큼 전당원 투표를 통해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여부를 결정짓겠지만 국민의 70% 이상이 폐지를 찬성하는 여론인데다 민주당 소속 일부 국회의원들도 공약임을 전제로 국민과의 약속은 지켜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따라서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와 기초의회의장단 등이 줄기차게 폐지를 요구하고 있어 '반대'로 결론나기는 벅차 보인다.
하지만 당내에서 공천제가 폐지되면 ▲지방의회가 지역 토호(土豪)들 무대가 돼 부패가 심각해 진다 ▲여성 등 사회적 약자의 의회 진출이 위축 된다 ▲새누리당 등 보수 세력의 덫에 걸린다 등 공천제를 폐지해서는 안 된다는 온갖 사유와 명분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또 공천폐지 부작용을 우려하는 여론이 확산될 경우 찬성 입장을 지지하는 여론이 와해 될 수 있다는 해석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최종 결정까지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달 20일 민주당 유성엽 국회의원(정읍)이 권리당원 14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54.7%가 정당공천 영구 폐지에 찬성했고, 19.6%는 한시적 폐지에 동의했다. 결국 민주당 권리당원 10명 중 7명은 기초선거의 정당공천에 부정적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현수 기자
presskhs@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