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킴벌리대리점협의회, 유한킴벌리 불공정행위 기자회견

(서울=국제뉴스) 최동희 기자 = 친환경·착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는 유한킴벌리의 갑질에 대해 대리점주들이 직접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고 폭로했다. 특히 면세품인 기저귀와 생리대의 가격을 큰 폭으로 올린 이유에 대해 명확히 밝힐 것을 촉구했다.
13일 유한킴벌리대리점협의회는 유한킴벌리의 하기스 기저귀 등에 대한 시장지배적 사업자 남용과 판매목표 강제혐의 등 불공정행위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서울 강남구 유한킴벌리 본사 앞에서 열었다.
이날 대리점협의회 송정요 대표는 "지난 2009년 출산장려를 위해 면세해준 기저귀 가격이 한국소비자원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8월보다 56.5% 인상됐다"며 "현재 출산율은 줄어들고 있고, 유한킴벌리의 일부 대리점만 기저귀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억대의 담보를 넣은 대리점은 온라인에서 기저귀를 사서 팔아야 하는 상황이다. 국가가 출산장려를 위해 기저귀를 면세품으로 지정한 게 과연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유아용기저귀 뿐만 아니라 여성생리대도 지난 2009년 면세품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유한킴벌리가 생산하고 있는 '좋은느낌' 등은 이전보다 2배 이상 가격인상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대리점협의회는 면세품 가격상승 요인의 명확한 설명 촉구와 함께 대리점주들의 갑질 피해사례에 대해서도 호소했다.
유한킴벌리대리점협의회 박상현 총무는 "지난 2008~2014년 유한킴벌리 대리점을 운영했다"며 "유한킴벌리는 과도한 판매 목표를 주고 달성하지 못하니 그만두라고 했다. 특히 사무실로 찾아와 포기각서까지 작성하게 했다. 억울한 마음에 서울중앙지검에 강요죄로 고소를 해놓은 상태"라고 그동안 받아온 갑질에 대해 토로했다.
성남에서 대리점을 운영했다는 김종섭 대표는 "지난 2011년부터 3년간 대리점을 운영했다. 유한킴벌리가 소셜커머스 등 온라인 대리점에는 오프라인 대리점보다 20~30% 싼 가격에 공급하는 바람에 가격경쟁력에서 밀릴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남양유업피해대책위원회 장성환 회장도 참석해 "여전히 많은 대리점주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 회사는 그들의 의견을 대리점주들이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시스템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며 "하루빨리 회사와 대리점이 상생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날 기자회견 사회를 맡은 전국을살리기국민운동본부 이동주 정책위원장은 "시장이 얼마나 불공정한지 모른다. 본사에서 대리점주들에게 불이익을 가한다면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공정거래위원회의 유한킴벌리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유한킴벌리대리점협의회에서 주관하고, 전국'을'살리기국민운동본부, 남양유업피해대리점협의회, 오뚜기대리점협의회, 경제민주화실현전국네트워크 등이 주최했다.
최동희 기자
t579@gukj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