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회포럼, 서귀포시 통합돌봄지원센터 간담회
건강·돌봄·주거 연계한 ‘제주가치돌봄’ 성과 집중 점검
이용자 1만2,301명·참여기관 35곳… 전국 확산 논의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국회가 제주형 통합돌봄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서귀포를 찾았다. 이용자 1만2,000명을 넘긴 ‘제주가치돌봄’이 저출생·고령사회 해법으로 주목받으며, 전국 확산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국회 포럼이 22일 제주 방문 이틀째 일정으로 제주형 통합돌봄 현장을 찾았다.

국회 ‘건강과 돌봄 그리고 인권포럼’(대표 이수진 의원)과 ‘저출생 축소사회 대응포럼’(대표 백혜련 의원) 소속 의원 9명은 이날 서귀포시 통합돌봄지원센터에서 현장 간담회를 갖고 제주의 통합돌봄 모델을 면밀히 점검했다.

제주도는 간담회에서 2023년 10월 출범한 ‘제주가치돌봄’의 성과를 공유했다. ‘

'제주가치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도민 누구나 살던 곳에서 계속 생활할 수 있도록 일시재가, 방문목욕, 식사지원, 동행지원 등 9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주형 통합돌봄 모델이다.

출범 2년 만에 이용자는 1만 2,301명(2025년 10월 말 기준)에 달했고, 참여 민간기관도 초기 13개소에서 35개소로 늘었다. 제주도는 이를 지역사회 기반 돌봄 체계의 확장성과 실행력을 입증한 결과로 보고 있다.

간담회가 열린 서귀포시 통합돌봄지원센터는 제주형 돌봄 정책의 거점 역할을 맡고 있다. 센터는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돌봄 공백에 대비해 건강·복지·주거·정신건강을 통합 연계하는 지원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870명의 어르신이 서비스를 이용했다.

제주도는 국회에 제주형 통합돌봄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제도화 및 예산 지원을 요청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제주가 만들어 온 지역사회 통합돌봄 성과와 경험이 전국에서 모범사례로 확산되길 바란다”며 “중앙정부와 국회와의 협력을 통해 누구나 돌봄으로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제주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 포럼 의원들은 전날 제주도청에서 제주형 건강주치의·응급의료 전달체계 구축 간담회를, 서귀포시 국세공무원교육원에서 저출생 고령사회 대응 간담회를 잇달아 진행했다.

포럼은 이번 현장 방문을 바탕으로 제주의 선제적 복지정책을 반영한 세제·세정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