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전임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일인 12월 3일을 '국민주권의 날'로 제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제헌절(7월 17일)의 공휴일 재지정 가능성까지 높아지면서 국민들의 휴일 확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당은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일인 12월 3일을 '국민주권의 날'이라는 명칭의 기념일 제정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비상계엄 선포 1주년인 올해 12월 3일 이전에 해당 법안이 통과될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소관 상임위원회인 운영위원회의 심의가 본격화되지 않았으며, 국민의힘의 반대 또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비상계엄이라는 민감한 사안을 기념일로 지정하는 것이 정치적·여론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내 처리가 어렵더라도 계엄 선포 1주년 행사에서 '국민주권의 날' 제정 추진이 공식화될 가능성은 여전히 거론되고 있다.
한편, 7월 17일 제헌절이 18년 만에 공휴일로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는 지난 17일, 제헌절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은 '공휴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전했다. 이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내년(2026년)부터 제헌절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공휴일로 재지정된다고 밝혔다.
제헌절은 대한민국 5대 국경일(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제헌절) 중 현재 유일하게 공휴일이 아닌 날이라고 한다. 지난 2005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하여 이재명 대통령은 제77주년 제헌절이었던 지난 7월 17일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제헌절은 헌법이 제정·공포된 것을 기념하는 날임에도 국가 기념일 중 유일하게 휴일이 아닌 것 같다"며 "제헌절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면 좋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고 전했다.
만약 제헌절이 공휴일로 재지정되면, 2026년의 전체 휴일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미 2026년에는 삼일절, 석가탄신일, 광복절이 각각 월요일에 대체공휴일이 적용돼 실질 휴일이 확대될 예정이라고 한다. '국민주권의 날'과 제헌절이 모두 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국민들의 휴식권이 더욱 보장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영규 기자
yongdsc@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