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예산안 3조9408억원…“지방채 전액 상환으로 채무 제로 도시 완성”

▲ 신상진 성남시장이 20일 성남시의회 제307회 제2차 정례회에서 2026년도 예산안과 시정 운영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성남시제공]
▲ 신상진 성남시장이 20일 성남시의회 제307회 제2차 정례회에서 2026년도 예산안과 시정 운영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성남시제공]

(성남=국제뉴스) 이운길·손병욱 기자 = 신상진 성남시장은 20일 성남시의회 제307회 제2차 정례회에서 2026년도 예산안과 시정 운영 방향을 제시하며 “복지는 두텁게, 산업은 과감하게, 재정은 건전하게”라는 원칙 아래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내년도 성남시 예산안은 총 3조 9,408억 원 규모로, 올해 본예산 대비 2.9% 증가했다.

신 시장은 “연초 행정안전부 공시 자료에서 ‘전국 시·군 기초지자체 재정자립도’ 2년 연속 1위를 기록한 것은 불필요한 지출을 과감히 줄여 재정을 바로 세운 결과이며, 이렇게 확보한 예산을 시민 복지와 도시 미래에 재투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성과로는 ▲보훈명예수당 연령 제한 폐지 및 월 20만 원 인상 ▲대상포진 예방접종·치매감별검사 본인부담금 지원 확대 ▲A형 간염·백일해 예방접종 지원 신설 등 건강 안전망 강화 ▲향후 10년간 약 16조 원 경제효과가 예상되는 위례 ‘포스코 글로벌센터’ 유치 ▲스페인 스마트시티 엑스포 월드 콩그레스 모빌리티 부문 한국 도시 최초 대상 수상 ▲‘오리역세권 제4테크노밸리’ 비전 선포 ▲성남물빛정원·율동공원 오토캠핑장·책읽는 광장 도서관 등 시민 여가공간 확충 등이 소개됐다.

신 시장은 내년도 예산안의 핵심 가치로 ‘두터운 복지’를 제시하며, “예산 중 가장 많은 1조 4,246억 원을 사회복지 분야에 편성해 시민을 위한 지원을 최우선 가치로 삼았다”고 밝혔다. 또한 “재정 건전성을 위해 지방채 1,120억 원 전액 상환을 편성해 ‘채무 제로 도시’에 도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절감으로 마련한 재정 여력을 산업 투자, 시민 안전, 도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성남의 내일을 여는 핵심 사업들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