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진보당 제주도당, 초심야노동 금지 및 주간노동 확대 정책 발표
"쿠팡식의 고정식 초고강도 야간노동 문제 심각" 지적…"사람이 우선"
제주에서 시작하는 초심야노동 금지로 과로사 없는 제주 실현 목표
![진보당 제주도당은 20일 오전 9시 30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로와 심야노동 없는 제주도 만들기 정책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11/3433104_3570236_5754.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최근 제주에서 쿠팡 택배노동자가 새벽까지 이어지는 장시간 초심야노동 끝에 사망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진보당 제주도당이 과로와 심야노동 없는 제주도 만들기 정책발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진보당 제주도당은 20일 오전 9시 30분 제주도의회 도민카페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택배노동자 사망사고는 단순한 개인적 비극이 아니다"라며 "생명보다 속도를 사람보다 이윤을 앞세우는 사회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보여주는 경고"라고 밝혔다
김명호 도당 위원장은"사회를 구성하는데 꼭 필요한 필수 야간 노동자도 있다"라며 "우리 사회는 노동환경을 만들기 위해 여러 부분들을 살피고 개선해 왔지만 이러한 대체불가한 필수 야간노동과 '쿠팡식의 고정식 초고강도 야간노동'은 확연히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어 "쿠팡식의 심야노동이 사람에게 얼마나 위험한지 우리는 똑똑히 알아야 한다"라며"이렇게 위험한 방식의 야간노동이 확산되면 더 많은 영역의 노동자들이 생명을 잃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제주에는 장시간 노동이 특정업종에 집중되어 있다"며 "배달(택배·퀵·라이더), 관광서비스(호텔·펜션·여객 등), 일부 제조·가공업 등 특히 청년·이주노동자·비정규직에 집중되는 형태"라고 제주도 노동현실을 진단했다.
![진보당 제주도당은 제주도의 노동 현실 등 쿠팡 노동자의 사망 사건을 계기로 야간에 일하는 노동자들 살피고 개선하기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정책 제안의 배경을 설명했다.[사진=문서현 기자]](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511/3433104_3570237_5834.jpg)
또 사업장 구조적 문제도 지적했다. 적정인력 대체인력 부족으로 만성 초과근무, 휴게시간 연속휴식 미보장, 기업주의 인건비 절감을 위해 야간 유지를 강요, 임금 삭감, 고용불안 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심야노동을 감내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진보당 제주도당은 이 같은 제주도의 노동 현실 등 쿠팡 노동자의 사망 사건을 계기로 야간에 일하는 노동자들 살피고 개선하기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정책 제안의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밤에는 쉬는섬 제주를 만들기 위해 첫 걸음을 내딛어야 할 때 임을 강조했다.
진보당 제주도당은 제주에서 시작하는 초심야노동 금지로 과로사 없는 제주를 실현하고, 심야노동을 단계적으로 축소해 27만 제주도 노동자에게 생명과 휴식의 권리를 보장하자는게 정책의 핵심이다.
진보당 제주도당은 주요 6대 정책을 발표했다. △제주형 초심야노동 금지 조례 제정 추진, △쿠팡식 초심야시간 배송 금지, △임금 삭감 없는 주간노동으로 전환(제주형 심야노동 전환기금 조성)△공공부분 야간노동 제로(ZERO)정책 선도적 시행 △노동자 건강권 프로그램 도입, △도민 인식개선 및 연대 캠페인이다.
김 위워장은 이 같은 정책을 통해"과로와 심야노동이 없는 제주도를 현실화해서 장기적으로 제주도민 의 전체 건강지표를 개선해 노동하기 좋은 제주의 지역 이미지가 향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과로사 없는 제주, 위험한 심야 노동이 없는 제주를 만들기 위해 적극 앞장설 것"을 천명했다.
한편 도의회, 각 상임위원회에 정책을 전달하고, 사회적 대화를 위한 토론회 개최를 하겠다"고 밝혔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2417@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