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연말 착공, 2029년 준공 후 '글로벌 수산 유통 허브' 기대
위판장 폭 확대, 기둥 간격 조정 등 어시장 측 요구 반영 추진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부산시가 국내 최대 수산물 산지 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의 현대화사업' 공사계약을 체결했다.

HJ중공업 기술제안 조감도/제공=부산시
HJ중공업 기술제안 조감도/제공=부산시

11일 시에 따르면, 올해 7월 실시설계 낙찰예정자로 선정된 HJ중공업 컨소시엄이 지난달 17일 최종 실시설계도서를 시에 제출했다. 시는 지난 10일 해당 컨소시엄과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사업' 공사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10년 넘게 지연돼 온 숙원 사업을 본궤도에 올려놓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그동안 사업 지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던 어시장과의 의견 차이는 올해 8월부터 추진된 '설계도서 보완 협의체' 운영을 통해 해소됐다. 시는 위판장의 폭 확대, 기둥 간격 조정 등 어시장 측의 요구사항을 설계에 반영하면서, 위판 기능의 합의안을 도출, 연내 착공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1973년 현재 위치에 개장 이후 반세기 동안 부산 수산업의 중심 역할을 담당해 왔던 부산공동어시장은 현대화사업을 통해 노후화된 시설과 비위생적 개방형 경매환경을 개선하는 동시에 밀폐형 저온 위판장으로 전환, 자동 선별기 등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키로 했다.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사업은 연면적 6만 1971㎡ 부지에 총사업비 2412억 원(국비 1655억 원, 시비 499억 원, 어시장 자부담 258억 원)을 들여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로 조성된다. 시는 계약 체결 이후 인허가 절차를 거쳐, 올해 연말부터 본격적인 건축 공사에 착수하며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공사 기간 중 위판장 면적이 일시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어시장의 위판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위판량이 많은 성수기(10~3월)에는 공사를 최소화하고, 비수기를 중심으로 3단계로 나눠 공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현대화사업 공사계약 체결은 부산 수산업의 미래를 여는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흔들림 없는 사업 추진을 통해 글로벌 수산 유통 허브로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 돌제: 해안에서 직각 또는 경사지게 돌출시켜 만든 구조물로, 어시장 내 어선 접안 부두를 말함.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