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을 살리는 방제정책, 중장기 산림복원 전략과 연계돼야”
(정치=국제뉴스) 이운길기자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어기구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충남 당진시)은 10일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기후재난 시대, 소나무재선충병 국가방제 성공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기후위기 심화로 복잡해지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양상을 점검하고, 정부·지자체·전문가·시민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새로운 국가방제전략 수립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는 산림청, 학계, 연구기관, 현장 전문가,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해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제정책 수립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첫 발제자로 나선 정종국 강원대학교 교수는 ‘외래종 관리 이론에 기반한 소나무재선충병 대응전략 수립 방향’을 주제로 국내외 방제정책 사례와 기후변화에 따른 매개충의 분포 변화를 분석했다.
정 교수는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 등의 확산으로 재선충병 발생 양상이 복잡해지고 있다”며 “국내 방제정책 역시 생태계 복원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중심으로 한 국제협력형 방제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소나무재선충병 국가방제전략 추진 방향 및 정책과제’를 발표하며 “기후위기 시대 재선충병 확산 방어선인 국가선단지를 중심으로 청정지대를 확대하고 재난에 강한 건강한 숲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해 ▲유기적·선제적 방제전환 ▲경제·환경 기여형 플러스방제 개선 ▲지속가능한 관리체계 구축 등 3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또한 손요환 고려대 교수를 좌장으로 한 토론에서는 제주·군산 지역의 방제 성공사례, 피해고사목 자원 순환 및 고부가가치 활용 방안, 산림병해충 방제와 생태계 보전의 조화 전략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어기구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소나무재선충병은 단순한 병해충 문제가 아니라 우리 생태계의 균형이 달린 중대한 환경 과제”라며,
“숲을 살리는 방제정책은 단기 예산사업이 아닌, 중장기적인 산림복원 전략과 연계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산림병해 방제정책의 패러다임을 ‘제거 중심’에서 ‘복원 중심’으로 전환하는 논의의 장으로 평가받으며 향후 국가 차원의 지속가능한 산림보전 정책 수립에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이운길 기자
lsho7117@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