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질문 통해 통합신공항 건설 주도권·경북 결정권 확보 촉구
“가덕도는 전액 국비, 통합신공항은 기부대양여 불균형” 지적
소상공인 위기 극복·가축분뇨 처리 지원 강화 등 현장형 대책 강조

(경북=국제뉴스) 김진태 기자 = 이충원 경북도의원(의성2, 국민의힘)이 통합신공항 추진 과정에서 경북의 주도적 역할 확보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도정 대전환을 강력히 촉구했다.

(사진=김진태 기자) 도정질문하는 이충원 의원
(사진=김진태 기자) 도정질문하는 이충원 의원

이충원 의원은 11월 6일 열린 제359회 경북도의회 제2차 정례회 제1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경북이 진정한 주체로서 통합신공항 건설을 이끌지 못한다면, 이 사업은 더 이상 대구·경북의 공동 공항이 될 수 없다”며 도정의 방향 전환과 적극적 대응을 요구했다.

그는 “통합신공항은 단순한 공항 건설이 아닌 경북의 백년대계를 좌우할 국가적 프로젝트임에도 중앙정부와 대구시 중심의 구조 속에서 경북의 결정권이 축소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덕도 신공항은 전액 국비로 추진되는 반면, 통합신공항은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돼 경북이 막대한 재정 부담을 떠안는 불균형 구조”라며 형평성 있는 지원을 촉구했다.

(사진=김진태 기자) 도정질문하는 이충원 의원
(사진=김진태 기자) 도정질문하는 이충원 의원

또한 이 의원은 “의성군민의 희생에 대한 공동합의문 이행이 지연되고, 화물터미널 및 항공물류단지 조성 과정에서도 경북이 반복적으로 양보해왔다”며 “이제는 도가 협상 테이블의 중심에 서서 경북의 몫을 분명히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생경제 관련 언급도 이어졌다.
이 의원은 “하루 평균 110명의 소상공인·자영업자가 폐업하고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19%에 달하는 등 골목상권이 붕괴 직전”이라며 “경북도가 ‘100만 소상공인의 행복’을 외치지만, 고금리·고물가·내수침체 속 실효성 있는 정책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도지사가 직접 컨트롤타워가 돼 시군과 중앙부처, 유관기관을 하나로 묶는 현장 중심형 대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그는 “가축분퇴비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데도 도비 지원이 10여 년째 1포당 180원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며 “지원 단가를 대폭 인상해 가축분뇨 처리·악취 해소와 농가 부담 완화, 나아가 ‘경북형 농업대전환’의 성공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의원은 “통합신공항은 경북의 미래이며, 농업대전환과 민생경제 회복은 도민의 삶과 직결된 절박한 과제”라며 “도의회가 정책 대안과 견제의 역할을 강화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