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째 이어지는 시민원탁회의, 생활 속 제안이 정책으로
포스트 APEC 시대…협치행정의 전국 모범
주낙영 시장 “시민이 설계하는 미래도시 경주로 도약”
(경주=국제뉴스) 김진태 기자 =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도시로 도약한 경주가
이제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시정’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경주시는 2019년부터 ‘시민원탁회의’ 제도를 도입해 시민의 제안을 정책으로 연결하는 ‘경주형 협치행정 모델’을 구축했다.
6년째 이어지고 있는 이 회의는 단순한 토론을 넘어, 실제 시정을 움직이는 시민참여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시민과 행정이 함께 설계한 ‘숙의의 장’

경주시민원탁회의는 특정 단체나 전문가의 자리가 아니라 일반 시민 누구나 참여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제안할 수 있는 경주의 대표적인 시민참여 프로그램이다.
2019년 첫 회를 시작으로 올해 9월까지 총 18회가 개최됐다.
‘시민원탁회의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매년 정기적으로 열리며, 시민이 의제를 제안하고 토론을 통해 해법을 도출하는 구조로 발전했다.
토론 주제는 생활 속 불편부터 도시 비전까지 폭넓다.
시는 회의 결과를 관련 부서 검토를 거쳐 실제 정책에 반영하며, 일부 제안은 이미 실행 단계에 들어서 ‘시민이 만든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코로나19 시기에도 중단되지 않았다.
경주시는 참여 폭을 넓히기 위해 무선투표시스템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공유하며 토론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높였다.
이처럼 시민원탁회의는 단순한 행정 행사가 아닌, 시민의 집단지성이 시정을 움직이는 ‘숙의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시민이 제안하고 행정이 응답하다

경주시는 원탁회의에서 제시된 시민 의견을 단순히 듣고 넘기지 않는다. 회의 후 관련 부서가 제안을 면밀히 검토해 실제 시정에 반영하며, 시민의 아이디어가 정책으로 실현되는 참여행정의 선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9월 열린 제15회 시민원탁회의에서는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를 위한 시민실천방안’이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시민들은 “친절한 경주가 곧 APEC의 성공”이라며 서비스 문화 개선과 ‘바가지 요금 없는 도시’를 제안했다.
이에 경주시는 택시 기사와 음식점 종사자 대상 친절·위생 교육을 정기 운영하고, ‘위생·친절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또 자원봉사단이 주도한 ‘클린데이’·‘손님맞이 새단장의 날’ 캠페인으로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실천운동으로 확산됐다.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기초 외국어 교육 제안도 즉시 반영됐다.
평생학습가족관에서 영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 강좌가 개설돼 관광 현장 맞춤형 회화 교육이 진행됐다.
생활 속 제안이 정책으로
2023년 제14회 회의에서는 “반려동물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 제안은 시의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 계획과 맞물려 사업 추진에 속도를 냈고, 올해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진행 중이다.
또 같은 해 제11회 회의에서 제안된 ‘현곡면 금장사거리~나원초 구간 인도 설치’는 지난해 말 완공돼 학생과 주민의 안전을 크게 개선했다.
이외에도 제13회 회의에서 논의된 ‘탄소중립 도시를 위한 시민실천방안’은 ‘경주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반영돼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조성의 밑거름이 됐다.
시민의 한마디가 정책이 되고, 제안이 행동으로 이어진 결과다.
포스트 APEC, ‘시민이 만드는 미래도시 경주’

경주시는 원탁회의를 단순한 의견수렴 창구가 아닌 정책 실행의 출발점으로 운영하고 있다.
회의에서 나온 제안은 행정 검토를 거쳐 시정에 반영되고, 도시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
APEC 정상회의 이후, 경주는 ‘행정이 주도하는 도시’에서 ‘시민이 설계하는 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행정 중심의 시정에서 시민 중심의 시정으로 전환되며, ‘함께 만드는 경주’의 패러다임이 자리 잡고 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시민원탁회의는 시민의 목소리를 시정에 직접 반영하는 가장 생동감 있는 통로”라며 “포스트 APEC 시대,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협치행정을 통해
더 나은 경주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진태 기자
n2000@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