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학관 협력·생활경제 회복·신산업 기반 강화 성과
- 집중호우 피해 신속 대응·특별재난지역 지정 견인
- 소통 행정·조직문화 혁신으로 50만 자족도시 도약 지원

김범수 아산시 부시장(사진/아산시 제공)

(아산=국제뉴스) 이원철 기자 = 김범수 아산시 부시장이 취임 100일을 맞았다. 김 부시장은 지난 7월 1일 취임 이후 “시민과 함께하는 실천 행정”을 기조로, 현장 중심의 정책 추진과 조직문화 혁신, 생활경제 회복에 주력하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취임 직후 그는 시청 내 60개 부서를 순회하며 시정 현안과 직원들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했고, 경찰병원과 중앙경찰학교, 탕정2지구 도시개발, 인주일반산업단지 등 핵심 현장을 수차례 방문해 사업 추진상황을 점검하며 시정 연속성을 강화했다.

특히, 지난 7월 집중호우 당시 아산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진두지휘하며, 피해 조사와 복구에 발 빠르게 대응했다. 그는 중앙정부와 정치권에 실태를 적극적으로 전달해 아산시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로 인해 국가 차원의 재정 지원이 뒷받침되며 신속한 복구가 가능했다.

김 부시장은 충남도청 문화체육관광국장 재직 당시 ‘충남 방문의 해’를 총괄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2025~2026 아산 방문의 해’ 준비를 이끌고 있다. 지역 특화 관광 콘텐츠 발굴과 문화 인프라 확충에 힘쓰며, 체류형 관광도시 기반을 다지는 데 집중하고 있다.

경제 분야에서도 지역 화폐 ‘아산페이’ 확대,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 지방세 및 국비 확보 등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이어갔다. 아울러, 바이오헬스·미래 모빌리티·인공지능 등 아산의 미래 신산업 기반 마련을 위해 대학·기업·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해 왔다.

조직 내부적으로는 공직자 간 협업과 소통을 강조하며, 자율과 책임이 조화를 이루는 유연한 조직문화 정착에 주력했다. 이는 조직 내 동기부여 확산과 함께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김 부시장은 “아산은 젊고 역동적인 에너지를 지닌 도시로,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행정에 빠르게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세현 시장이 추진하는 핵심 사업들이 흔들림 없이 완수될 수 있도록, 시민과 현장을 연결하는 든든한 행정 파트너가 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부시장은 충남 서산 출신으로 1995년 공직에 입문해 충남도청 정책관리팀장, 미래성장과장, 문화체육관광국장 등을 역임했다. 2011년 국무총리 표창, 2019년 대통령 표창을 받은 행정 전문가로, 현장의 목소리를 중시하는 ‘실천형 행정가’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