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학관 협력·생활경제 회복·신산업 기반 강화 성과
- 집중호우 피해 신속 대응·특별재난지역 지정 견인
- 소통 행정·조직문화 혁신으로 50만 자족도시 도약 지원

(아산=국제뉴스) 이원철 기자 = 김범수 아산시 부시장이 취임 100일을 맞았다. 김 부시장은 지난 7월 1일 취임 이후 “시민과 함께하는 실천 행정”을 기조로, 현장 중심의 정책 추진과 조직문화 혁신, 생활경제 회복에 주력하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취임 직후 그는 시청 내 60개 부서를 순회하며 시정 현안과 직원들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했고, 경찰병원과 중앙경찰학교, 탕정2지구 도시개발, 인주일반산업단지 등 핵심 현장을 수차례 방문해 사업 추진상황을 점검하며 시정 연속성을 강화했다.
특히, 지난 7월 집중호우 당시 아산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진두지휘하며, 피해 조사와 복구에 발 빠르게 대응했다. 그는 중앙정부와 정치권에 실태를 적극적으로 전달해 아산시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로 인해 국가 차원의 재정 지원이 뒷받침되며 신속한 복구가 가능했다.
김 부시장은 충남도청 문화체육관광국장 재직 당시 ‘충남 방문의 해’를 총괄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2025~2026 아산 방문의 해’ 준비를 이끌고 있다. 지역 특화 관광 콘텐츠 발굴과 문화 인프라 확충에 힘쓰며, 체류형 관광도시 기반을 다지는 데 집중하고 있다.
경제 분야에서도 지역 화폐 ‘아산페이’ 확대,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 지방세 및 국비 확보 등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이어갔다. 아울러, 바이오헬스·미래 모빌리티·인공지능 등 아산의 미래 신산업 기반 마련을 위해 대학·기업·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해 왔다.
조직 내부적으로는 공직자 간 협업과 소통을 강조하며, 자율과 책임이 조화를 이루는 유연한 조직문화 정착에 주력했다. 이는 조직 내 동기부여 확산과 함께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김 부시장은 “아산은 젊고 역동적인 에너지를 지닌 도시로,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행정에 빠르게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오세현 시장이 추진하는 핵심 사업들이 흔들림 없이 완수될 수 있도록, 시민과 현장을 연결하는 든든한 행정 파트너가 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부시장은 충남 서산 출신으로 1995년 공직에 입문해 충남도청 정책관리팀장, 미래성장과장, 문화체육관광국장 등을 역임했다. 2011년 국무총리 표창, 2019년 대통령 표창을 받은 행정 전문가로, 현장의 목소리를 중시하는 ‘실천형 행정가’로 평가받고 있다.
이원철 기자
ejfkr2001@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