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영
전 원광보건대학교 겸임교수
삼례읍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장
센스안경원.금강보청기 원장

(전북=국제뉴스) 최학송 기자 = 완주와 전주의 행정통합 논의가 정치권과 일부 세력을 중심으로 다시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통합 추진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지역 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차례의 주민투표와 여론조사에서 일관되게 ‘반대’ 의사를 밝혀온 주체는 다름 아닌 완주군민이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주민의 뜻을 무시한 채 정치적 계산이나 일부 세력의 논리로 통합을 강행한다면 이는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이다.
완주군은 이미 자생적인 성장 기반을 갖춘 자치단체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을 비롯해 LS엠트론, 완주 테크노밸리 등 굵직한 산업단지를 품고 있으며,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제조업 기반을 구축했다. 재정자립도 역시 군 단위에서 상위권을 유지하며, 스스로 지역 발전을 이끌어갈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반면 전주시는 최근 수년간 부채 증가와 재정난에 직면해 있으며, 그 해결책을 완주와의 통합에서 찾으려는 것은 아닌지 지역 사회의 깊은 의심을 사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주민의 목소리다. 지난 30여 년 동안 완주군민은 행정통합 논의가 제기될 때마다 명확하게 ‘반대’의 뜻을 밝혀왔다. 이는 단순한 지역 이기주의가 아니다. 오랜 생활권의 차이, 지역 정체성의 보전, 그리고 자치권을 지키려는 당연하고 정당한 선택이다. 최근 열린 ‘완주·전주 갈등 해소의 시간’ 토론회에서도 주민들은 “더 이상 갈등을 키워서는 안 된다”며 정치권의 일방적 추진에 강하게 우려를 표했다.
지방시대와 균형발전이 국가적 화두로 떠오른 지금, 행정통합은 만병통치약이 될 수 없다. 완주는 문화·체육·복지 인프라를 확충하고, 피지컬 AI 실증단지와 청년 창업 플랫폼, 주민자치 혁신 등 미래를 선도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며 ‘군민 주도의 발전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런 궤도를 통합이라는 이름으로 멈추게 하는 것은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는 일이다.
정치권과 지자체는 이제라도 군민의 뜻을 분명히 직시해야 한다. 주민 동의와 공감 없는 통합 논의는 단 한 걸음도 나아갈 수 없으며, 강행은 또 다른 갈등과 반발만 초래할 뿐이다. 완주군민이 원하는 것은 지역 고유의 자산과 역량을 살려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자치의 길이다. 주민이 명확히 반대하는 통합을 억지로 밀어붙이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자, 지역 사회를 분열시키는 무책임한 정치다.
이제 정치권은 군민의 뜻을 시험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중단해야 한다. 통합 논의의 출발점은 ‘정치적 이해득실’이 아니라 ‘주민의 의사’다. 군민의 뜻을 무시한 통합 강행은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진정한 상생은 주민 존중에서 시작된다. 더 이상 군민의 뜻을 거스르는 시도는 용납되지 않을 것이다.

최학송 기자
man31com@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