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가 닷새째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멈췄던 시스템의 약 13%를 복구했다고 밝혔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0일 오전 8시 기준 1등급 정부 전산 서비스 36개 중 21개가 복구됐다. 모바일 신분증과 주민등록등본 발급이 가능한 ‘정부24’, ‘인터넷우체국’ 및 ‘우편물류’ 등이 운영을 재개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날부터 우체국 창구의 신선식품 접수, 착불 소포, 안심 소포 접수를 다시 받는다. 부동산 거래 온라인 신고 서비스도 오후 1시부터 정상화된다.
다만 전체 647개 정부 시스템 중 운영 재개 비율은 13.1%에 그쳐 ‘온라인 화장장 예약’, ‘국민신문고’, ‘안전디딤돌’ 등은 여전히 이용이 어렵다. 정부는 정상 수준 복구까지 약 한 달이 더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정보원은 전날 오후 6시 국가 사이버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했다. 국정원은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혼란을 악용한 해킹 가능성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다음 달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대응 태세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각 행정기관은 사이버 공격, 전산망 마비 등 특이 징후 포착 시 국가사이버안보센터와 국가안보실에 즉시 통보해야 한다.
한경상 기자
hanga26@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