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환급액 환급기준 / 중기부 제공
상생페이백 환급액 환급기준 / 중기부 제공

정부의 소비진작·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상생페이백’이 15일 시작되면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디지털 온누리’가 앱스토어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다.

9~11월 석 달간 전년도 월평균 카드사용액 대비 소비가 늘어난 금액의 20%를 환급받을 수 있어 가계 보탬이 될 전망이다.

상생페이백은 월 최대 10만원, 3개월 최대 30만원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한다. 환급을 받으려면 ‘디지털 온누리’ 앱 가입이 필요하다. 신

청은 전용 누리집에서 11월 30일 자정까지 가능하며, 1회 신청으로 9~11월 월별 증가분이 자동 반영돼 다음 달 15일마다 순차 지급된다. 첫 지급일은 10월 15일이며, 11월 말까지 신청하면 9~10월분도 소급 지급된다. 대상은 2024년에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 및 외국인이다.

비교 기준인 ‘전년도 월평균 카드소비’는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신청일로부터 이틀 뒤 확인할 수 있고, 국세청 홈택스의 ‘소득·세액공제 자료 조회’(신용·직불카드 사용액 합계÷12)로도 산출 가능하다. 예컨대 지난해 월평균 100만원, 올해 9월 150만원을 썼다면 증가분 50만원의 20%인 10만원을 돌려받는다.

지급되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약 13만 개 전통시장·상점가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기간은 지급일로부터 5년이다.

실적으로 인정되는 소비처는 전통시장, 동네 마트, 동네 식당 등 중소·소상공인 매장 결제다. 백화점, 아웃렛, 대형마트, SSM, 대형 전자제품 직영점,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점, 온라인 쇼핑몰·배달앱 등 전자상거래는 제외된다.

다만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달리 연매출 30억원을 넘는 일부 오프라인 중형 슈퍼·제과점 등은 포함된다. 매장 내 카드단말기 결제만 인정되며 키오스크·테이블오더 등 비대면 단말 결제는 제외된다.

신청 첫 주(9월 15~19일)는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가 적용됐고, 누리집은 매일 23시 30분~익일 0시 30분 시스템 점검으로 접수가 중단된다.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전통시장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시중은행 일부 영업점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시행 기념 이벤트로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5만원 이상 충전 시 1만 명에게 1만원 상당 상품권을 추가 증정하는 행사를 이달 30일까지 진행한다.

또 상생페이백 인정 사용처에서 10월 12일까지 누적 카드 결제 5만원당 1장(최대 10장)의 ‘상생소비복권’이 제공되며, 11월 중 추첨을 통해 총 2,025명에게 총 10억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경품이 지급된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