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저감 스틸벨트 적용한 타이어 생산 공정도
탄소 저감 스틸벨트 적용한 타이어 생산 공정도

현대차·기아가 소재 혁신을 통해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인 타이어용 '스틸벨트'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국제 규제 강화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은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 걸친 탄소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도 204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전 밸류체인에 걸쳐 배출 저감 기술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23년부터 현대제철, 효성첨단소재, 한국타이어와 공동 연구 체계를 구축해 세계 최고 수준의 탄소 저감형 타이어 스틸벨트 개발에 착수했다. 스틸벨트는 타이어 내부에 삽입돼 하중을 지탱하고 주행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핵심 부품이다.

타이어용 탄소저감 스틸벨트 구조 이미지
타이어용 탄소저감 스틸벨트 구조 이미지

특히, 스틸벨트는 기존 철광석 기반 고로 방식 대신 재활용 철 스크랩을 80% 이상 사용하고 전기로를 활용해 제조 과정의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이를 통해 기존 대비 22%의 탄소 배출 감축 효과를 거뒀다.

현대차·기아는 차량 1대당 약 3kg의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연간 참나무 한 그루의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비슷한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 홍승현 상무는 “탄소 저감 스틸벨트 기술이 미래 세대를 위한 탄소중립이라는 여정에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기술의 완성도를 더욱 높여나갈 것”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