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기강 해이… 음주 징계가 10건 중 7건"
“엄정 처분” 말뿐… 실질적 관리 시스템은 부재
법원행정처 “음주 2회 적발 시 파면” 공언… 실태는 미파악

(서울=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최혁진 의원이 밝힌 법원행정처 법원 공무원 징계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유죄 확정 후 징계된 사건 74건 중 69%에 해당하는 51건이 음주운전 또는 음주측정거부로 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법원행정처는 2021년 ‘법원공무원 징계 양정 등에 관한 예규’를 개정하며 혈중알코올농도 0.08% 미만의 첫 적발에도 최저 ‘감봉’, 2회 적발 시 최고 ‘파면’이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최혁진 의원실이 요청한 “음주운전 2회 이상 징계 공무원 목록 및 관리 현황”에 대해 법원행정처는 “별도 파악·보관하지 않아 제출 불가”라는 공식 답변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최혁진 의원은 “말로는 ‘엄정 처분’이라 해놓고 재범 관리대장조차 없다면 탁상행정의 전형”이라며 “법원공무원이 음주운전으로 두 번 적발돼도 조직이 추적·관리하지 못한다면, 자정하겠다는 외침은 허울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음주운전 재범에 대한 실질적 관리 시스템이 부재한 가운데, 법원 조직의 자정 의지와 징계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고정화 기자
mekab3477@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