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교육정책연구소-충남대 공동 주관…교육발전특구 역할 집중 조명
저출생·지역소멸 위기 대응 위한 공교육-지역산업 상생 모델 모색

(대전=국제뉴스) 이규성 기자 = 대전교육정책연구소가 충남대학교와 함께 대전교육발전특구를 통한 지역교육 생태계 복원 방안을 모색했다.
연구소는 18일 충남대 융합교육혁신센터에서 충남대 교육연구소, BK21 세계시민교육 미래인재양성사업단과 공동으로 ‘제10회 대전교육발전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지역을 살리는 길, 교육발전특구의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열렸다. 교직원, 학부모, 교육행정가, 대전시청 및 지역대학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영남대 김병주 교수가 주제 발표를 맡았다.
토론에는 대전시교육청 혁신정책과 이종직 장학관, 초등교육과 오민영 장학사, 대전갑천중학교 전국화 교사가 참여해 교육청과 학교 현장의 다양한 관점을 제시했다.
저출생과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공교육과 지역 산업의 상생 방안이 핵심 논의 주제였다. 연구소는 거점형 늘봄센터 운영, 학교 밖 마을배움터 활용 등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또한 사교육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 돌봄 모델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공유됐다.
대전교육발전포럼은 오는 10월 16일 충남대 융합교육혁신센터에서 ‘개인 맞춤형 진로교육 통합 플랫폼 구축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후속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선희 대전교육정책연구소장은 “대전에 특화된 글로컬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공교육의 질 제고가 절실하다”며 “의미 있는 토론의 장을 통해 지역교육 생태계 복원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규성 기자
lks7051@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