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갑하다. 고양시는 왜 그리 불통인지. 신도시재개발부터 영상밸리까지 다 공회전이다.”
명재성 경기도의원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에 대해 질문하자 고양시 문제부터 꺼넸다. 그는 고양시에서 39년간 근무해 3급까지 오른 행정 베테랑이다. 동료들 사이에서는 ‘명재상(名宰相)’이라는 별칭도 얻었다.
- 지난 1년간 정무수석을 맡았다. 집행부와의 협상은 어떻게 이뤄졌나?
“고양시 문제부터 언급하고 싶다. 여야 간 극한 불통에다 집행부와도 소통이 끊겼다. 주요 사업은 표류하고, 시민과의 갈등은 일상화됐다.”
고양시의회는 여야가 17대 17로 팽팽히 맞서 있다. 명 의원은 “불통이 극에 달해 시민들이 분통을 넘어 분노하고 있다”며 “고양영상밸리 도시개발, 일산신도시 재개발 지연, 기본·기회소득 미지급 등 시민이 받아야 할 혜택이 가로막혀 있다”고 지적했다.
불통의 원인을 어디에서 보나?
“이동환 고양시장은 시의회 본회의를 외면하고 대도시 협의회에 갔으며, 회기 중에도 독일로 떠났다. 이것 하나만 봐도 상황은 드러난다.”
- 고양영상밸리사업이 지연된다고 했는데?
“시가 수의계약 방식을 고집해 국토부가 제동을 걸었다. 또한 공급 계획 승인도 시가 2년째 미루고 있다. 당초 근생·주거 비율은 9대1이었는데, 시장이 7대3으로 변경해 사업성이 떨어졌다. 공회전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 이재준 전 시장이 세운 계획 아닌가. 신뢰 문제가 있지 않나?
“절차가 끝났으면 승인하면 된다. 아파트가 많다거나 기업 유치를 해야 한다는 이유로 승인을 미루고 있다. GH가 소유한 땅값만 6천억 원이 넘는다. GH가 자금 압박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일산신도시 재개발 역시 ‘시장의 기준 용적률 제한 때문에 지연되고 있다’고 했다. “시장 결정으로 용적률을 300%에 묶어 놨다. 분당은 323%, 평촌은 340%다. 시장은 350% 범위 내에서 조정 권한이 있는데도 고집으로 묶어 두고 있다. 용적률이 낮으면 조합 분담금이 억 단위로 뛰어 사업 추진이 사실상 어렵다.”
- 시장은 쾌적한 도시를 내세우지 않나?
“용적률 323%인 분당은 쾌적하지 않고, 300%인 일산은 쾌적하다는 논리는 맞지 않는다. 본인 고집일 뿐이다. 최종 승인 권한은 경기도에 있는데 협의로 풀 수 있음에도 외면하고 있다.”
- 용역 등을 통해 경기도가 적정용적율에 대해 권고할 수는 없나?
“경기도는 시장 권한이라는 말만 반복한다. 그러나 일산테크노밸리, 방송영상밸리와 시너지 효과를 내려면 시기가 중요하다. 지금처럼 미루면 모두 어긋난다. 시는 이 외에도 지역화폐나 기본소득, 기회소득 등에 대해서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 고양시는 지역화폐조차 유통되지 않나?
“과거 지역화폐 지급을 위한 1인 시위를 한 적이 있다. 31개 시·군 중 고양시만 빠져 있다. 성남만 해도 800억 원 규모가 돌고 있는데, 고양은 시민이 그만큼 손해를 본다. 청년 기본수당도 추진하지 않아 분노가 터져 나오고 있다.”
- 당이 달라서 그런 것인가?
“예술인·청년 기회소득 등 김동연 지사의 주요 정책도 고양시는 거부한다. 다른 지자체는 자립도가 낮아도 한다. 고양시만 안 한다. 지난해 특별조정교부금 5억 원을 배정받지 못한 것도 이 때문이다. 작은 공원 하나 지을 수 있는 돈인데 시민만 손해를 봤다. 도의원은 이렇게 노력하고 있는데.... 시장은 경기도나 중앙정부하고 협조적 관계가 중요하다. 그게 다 시민을 위한 거 아닌가.”
- 시장이 왜 협조하지 않는다고 보나?
“욕심이고 아집이라고 본다.”
- K컬처밸리는 CJ의 과실로 논란 끝에 무산됐고, 상반기 공모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가 라이브네이션 등 4곳으로 압축됐다. 정상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9월 말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12월 계약으로 간다. 4곳 중 라이브네이션만 제출할 가능성이 크다. 이 회사는 티켓 판매 기반 기업이라 한국을 교두보로 아시아권 유통망을 확장하려는 전략일 수 있다.”

- 정무수석으로서 도 집행부와의 협상은 어땠나?
“초기에는 여야 78대 78로 팽팽했다. 국회와 비슷하게 진통이 있었지만, 양당 대표 협상으로 비교적 원만히 운영됐다.”
- 김동연 지사와의 관계는?
“민주당 소속인데도 대선 후보 시절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차별화를 시도하려고 했다가 지금은 정부 기조에 맞추려하는 것이 너무 정치적으로 보였다.”
- 정치인은 원래 정치적이지 않나?
“처음에는 갈등이 많았다. 중앙당의 기조와도 맞지 않았다. 우리는 보편 지급(기본소득)을 주장했지만, 김 지사는 선별 지급(기회소득)을 내세웠다. 결국 협상으로 풀어냈다. 다만 의회를 존중하는 태도만큼은 높이 평가한다. 본회의를 빠진 적이 없다. 김 지사는 본회의 도정질문에서도 자리에 앉아 의원들의 발언을 노트에 적거나 경청하는 자세를 보여왔다.
내년 6월 도의원 임기가 끝나고 어떤 향후 정치적 행보할 것인가를 묻자 명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국회의원, 당대표를 거쳐 대통령에 올랐다. 행정과 정치를 겸비한 경험이 큰 자산이었다. 나는 39년간 공무원으로 근무했고, 도의회 정무수석을 지냈다. 행정과 정치를 모두 경험한 만큼 고양시를 발전시킬 자신이 있다. 내년 지방선거에 고양시장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김만구 기자
prime0106@hanmail.net
